지자체 첫 ‘민관 네트워크’ 구축 수원의료원 ‘중점 치료센터’로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이 예상과 달리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가 도내 대형병원 32곳과 공동 대응에 나섰다.
지방자치단체와 대형 민간병원 다수가 협업해 메르스에 공동 대응하는 모델을 성사시킨 것은 경기도가 최초로, 이번 조치가 메르스 확산을 막을 묘수가 될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9일 경기도는 메르스 확산을 막기 위해 도내 대형병원이 대거 참여하는 ‘경기도 메르스 치료 민-관 네트워크’를 출범시켰다. ‘경기도 메르스 치료 민-관 네트워크’에는 도내 대형병원 32개 병원 및 경기도의료원 산하 6개 병원도 협업한다.
민-관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먼저 경기도립의료원 수원병원이 모니터링 대상자를 전담 치료하는 ‘경기도 메르스 중점 치료센터’로 운영된다.
중점 치료센터에는 그간 진료를 위해 의료기관을 전전하던 메르스 모니터링 대상자들이 진료와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민관 네트워크 참여병원들이 중점 치료센터인 수원병원에 우수한 감염내과 전문 의료진과 첨단장비를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모니터링 대상자는 증상이 발생하면 보건소에 연락해 중점 치료센터에 입원할 수 있으며 확진 검사가 진행된다. 확진 시 확진 환자 병동에서 입원치료를 받게 되며 음성 또는 무증상인 경우에는 퇴원 후 자가에 격리한다.
또 32개 대형병원과 경기도의료원 산하 의정부병원, 안성병원, 파주병원, 포천병원, 이천병원이 ‘외래 기반 메르스 지역거점병원’으로 지정ㆍ운영된다. 고열 및 폐렴 등 메르스와 유사 증상이 나타난 일반 국민은 이들 병원 중 가까운 병원을 방문해 진료를 받을 수 있다.
병원에 방문하면 병원에 별도로 설치된 외래 격리진료소에서 상담을 통해 메르스 관련 여부를 판단하고 관련이 있을 때는 외래 격리진료실에 대기 후 보건소와 연계해 후속 조치를 받는다. 관련이 없는 경우에는 일반 진료를 받게 된다.
남 지사는 “경기도의 민관 합동 대응 모델이 정부를 비롯해 확진자가 발생한 타 지자체로 확산돼 하루빨리 메르스를 종식시키길 기대한다”며 “국민께서는 걱정하지 말고 의심증상이 있으면 민관 네트워크 참여 병원에서 안심하고 신속하게 진료를 받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