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당국서 15번 환자 ‘의심’통보 못받아… ‘3차 감염자’ 2명 발생 70대 퇴원후 요양원으로 간병인은 격리조치 무시 감염우려 확산
병원 측 “추가 확진 2명 관리대상 벗어나… 현재 확진환자 없다”
병원내 메르스 감염이 없다고 확신하던 한림대 동탄성심병원에서 3차 감염자 2명이 발생하고, 관리도 허술했던 것으로 밝혀지면서 ‘제2의 평택성모병원’화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일고 있다.
9일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메르스 검사 결과 8명이 양성으로 확인, 확진자로 추가됐다. 이 가운데 94번 환자(71)는 15번 환자(35)와 지난달 27~28일 동탄성심병원 같은 병실에 입원했으며, 93번 환자(64·여)는 지난달 9일부터 지난 1일까지 이 병원에 체류한 간병인이다.
앞서 15번 환자는 지난달 27일 발열 증상으로 이 병원을 내원해 29일 오후 보건 당국으로부터 ‘메르스 의심 환자’라는 통보를 받고 격리조치 후 31일 확진 판정을 받아 국가지정병원으로 이송됐다.
그러나 94번 환자가 당국의 감시망이 가동되기 전 요양병원으로 옮기고, 93번 환자 역시 의심 환자로 분류된 이후 보건 당국의 ‘자가 격리’ 조치를 무시한 채 경조사를 이유로 외출하는 등 일부 개별 행동을 한 것으로 알려져 추가 감염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94번 환자의 경우 15번 환자에 대한 정부의 의심 환자 통지가 나오기 전날인 28일 ‘요양병원으로 가겠다’며 퇴원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감염 위험에 대한 관리나 메르스 검사 제의를 받지 못했다. 아울러 93번 환자의 경우 병원측으로부터 보건당국의 관리대상임을 통보 받았지만, 검사를 거부한 채 격리 조치를 따르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두 환자가 요양병원 등에서 시민들과 접촉하면서 메르스가 확산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셈이다. 특히 요양병원은 면역력이 나쁘고 당뇨 등 만성 질환이 잦은 고령 환자들이 모이는 곳이어서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또 간병인으로 근무하던 93번 환자가 다른 환자들을 돌보는 과정에서 추가 감염이 이뤄졌을 가능성도 상존하고 있다.
동탄성심병원은 지난 7일 홈페이지 공지문을 통해 ‘타 병원의 경우처럼 옆에 있던 환자 및 보호자에게 전파된 사례가 단 한 건도 발생되지 않았다’고 자신한 바 있다.
동탄성심병원 관계자는 “93번 환자는 통제불능으로 병원을 벗어났고, 94번 환자는 15번 환자가 의심 환자 통보를 받기 전에 퇴원했다”고 밝혔다.
한편 화성시에 따르면 이날 오후 화성에 사는 A씨(여)가 15번 환자와 같은 병동에 입원한 아버지를 간호하다 메르스에 감염된 것으로 알려졌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