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치보던 대학 등록금 줄줄이 인상’ 제하의 어제 본보 심층보도(5면)가 있었다. 교육과학기술부의 등록금 인상 자제 권고를 외면한 대학이 적잖다. 오산대·인하대·수원대·단국대·경원대 등은 2년 연속 동결하고 있는가 하면, 최하 2.4%에서 최고 6%까지 올린 대학들이 있다. 한신대·한국외국어대·한양대·한국산업기술대·아주대 등이다. 이외에도 인상폭을 놓고 줄다리기를 하는 몇몇 대학이 또 있다.
경제의 경색국면이 아직 풀리지 않은 서민가계의 어려움은 여전하다. 이런 가운데 350만~430만원, 심지어는 500만원대의 등록금 부담은 학부모나 학생이나 한 마디로 말해 고통이 아닐 수 없다. 단 1% 인상도 가중되는 고통은 무척 피곤하다.
주목되는 것은 2년 거듭 동결하는 대학과 인상하는 대학의 입장 차이가 뭣이냐는 점이다. 예를 든다. 한신대는 6% 인상 이유로 인건비 보전 등을 들었다. 시설 확장을 인상 이유로 든 대학도 있다. 이에 비해 단국대는 이태나 동결하면서도 약학대학 약학관 신축 등 학교발전 투자계획은 차질없이 추진한다.
사립대학은 재단 전입금이 주요 재원이다. 주요 재원인 재단 전입금은 줄면서 학생 등록금에만 의존하는 대학운영은 이상 징후다. 재단이 부실하거나 학교행정이 고장났다고 보아야 한다.
학생 머릿수가 곧 돈으로 계산되던 때가 있었다. 학원 모리배로 지탄됐다. 등록금 인상에만 급급하는 일부 대학의 등록금 의존주의 지상은 과거의 그 같은 사회적 지탄을 연상케 한다.
대학운영 또한 어려움이 없지 않을 것이란 짐작을 못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사회 전반이 어려운 시기다. 문제는 대학은 고통분담을 위해 뭘 했느냐는 것이다. 긴축재정은 커녕 쓸것 다 쓰고, 할짓 다 하면서 운영이 어려워 등록금을 올려야 한다는 것은 대학의 도덕성 결핍이다. 가령 인건비 감당이 어려우면 인건비를 줄이는 것이 순서다. 방만한 인건비를 주기위해 등록금을 올리는 발상은 학생을 위한다 할 수 없다.
그러나 교육과학기술부가 등록금 인상 대학에 대한 제재로 취업후 학자금 상환제 대출금 규모를 축소하는 것은 반대한다. 다른 지원에 불이익을 주는 것은 마땅하겠으나 이는 안 된다. 대출금 규모를 줄이는 것은 대학의 불이익이 아닌, 학생의 불이익으로 직접 피해를 입기 때문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