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 스마트허브 정부 유지·보수 외면… 노후화 가속

안산스마트허브 전경. 안산시 제공

 

안산 스마트허브 녹지 일부를 개정해야 한다는 주장(경기일보 15일자 10면)이 나온 가운데 정부가 막대한 세금을 걷어가면서도 유지·보수는 외면해 노후화를 심화시킨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9일 안산시 및 스마트허브 입주자 관계자 등에 따르면 2013년 국가산단인 안산스마트허브에서 걷어간 세금은 5천982억원이며 이 중 국세(법인 및 소득세)는 78%인 4천700억원으로 그동안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정부는 스마트허브로부터 국세를 걷어 가면서도 “이미 준공된 국가산단은 ‘산업단지 지원에 관한 운영지침’ 규정에 따라 필수 기반시설인 도로시설물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규정을 이유로 도로 등 국가산단의 필수 기반시설에 대한 지원을 외면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시는 2018년 도로 정비를 위해 28억5천만원, 가로등 정비를 위해 6억5천만원 등 모두 35억원을 투입했으며 2021년에도 도로 및 가로등 정비에 41억4천만원, 올해도 15억7천원 등을 기반시설 유지관리 예산으로 계획하는 등 최근 5년간 기반시설 유지관리비로 155억6천만원을 투입했다.

 

사정이 이런데도 정부는 공모사업(산업부 및 국토부 등)을 통해서만 비정기적으로 기반시설 유지비를 보조하고 있다.

 

이 때문에 준공된 지 50여년이 지난 스마트허브는 기반시설 노후화로 유지·관리비는 늘고 있지만 재정여건상 예산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기반시설 보수가 지연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결국 스마트허브 내 교통정체 원인은 물론 물류비용 증가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산업경쟁력 약화를 가중시키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준공된 산단의 기반시설 유지·관리비를 국가 지원 대상에 포함하면 막대한 국고 부담을 초래해 수용이 어렵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