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산단 중 녹지율 최고, 개선필요... 근로자 편익·지원시설 확보 등 목소리 산단 “용도변경 어려움 있지만 검토”
안산 반월국가산단이 조성된 지 50년이 지났지만 녹지율이 조성 당시 규모를 유지하고 있어 현실에 맞게 개정해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특히 환경오염 발생 업종 개선으로 공해 발생 업종이 감소한 만큼 관리계획을 바꿔 근로자 편익·지원시설을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7일 반월국가산단(안산스마트허브) 입주업체 등에 따르면 스마트허브는 1977년 착공해 1987년 완공됐으며 1천537만4천200㎡ 중 산업시설구역 791만5천727㎡(51.5%), 녹지구역 493만2천212㎡(32.1%) 그리고 공업·지원시설 각각 206만7천858㎡(13.4%)와 419천689㎡(2.7%) 등으로 녹지율은 전국 국가산단 중 가장 높다.
이후 국토부는 산업입지의 개발에 관한 통합지침을 산단 규모에 따라 300만㎡ 이상이면 녹지율을 10~13% 미만 규모로 확보할 수 있도록 지난 2008년 기준을 바꿨다.
현재 안산스마트허브에는 기업 8천여곳에 11만1천여명이 근무 중이다. 입주 당시에 비해 기업 수가 늘면서 기반 및 지원시설 등이 부족한 실정으로 3.3㎡당 토지가가 1천만원대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녹지율을 줄이고 대신 그곳에 고부가가치 물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이 입주할 수 있는 시설 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가산단 입주업체들은 “녹지구역 조정 등을 통해 입지규제를 완화하면 근로자 편익시설은 물론 각종 지원시설 설치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안산스마트허브 관계자는 “산단 내 용도변경 문제는 국토부 소관이어서 어려움이 있지만 내부적으로 충분히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