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서 구조된 독수리 2마리 자연 품으로

지난 4일 평택시 팽성읍 일원에서 구조된 독수리 4마리 가운데 2마리가 자연 방사됐다. 나머지 2마리는 치료 도중 상태가 악화돼 폐사했다. 경기도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제공
지난 4일 평택시 팽성읍 일원에서 구조된 독수리 4마리 가운데 2마리가 자연 방사됐다. 나머지 2마리는 치료 도중 상태가 악화돼 폐사했다. 경기도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제공

평택에서 야생오리 사체를 먹고 농약에 중독된 채 구조된 독수리들 중 일부가 치료를 마치고 자연으로 돌아갔다.

앞서 평택시는 팽성읍 평궁리에서 야생조류가 집단폐사(경기일보 4일자 6면)했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 독수리 4마리를 구조해 경기도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에 인계했다.

16일 경기도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에 따르면 구조된 독수리 4마리 중 2마리를 각각 지난 7일과 15일 용인 이동읍과 평택 진위면 등지에서 방사했다. 나머지 2마리는 구조 후 센터에서 치료를 받던 중 상태가 악화돼 폐사했다.

센터 측은 겨울철새인 독수리가 북상하는 시기에 맞추기 위해 서둘러 치료를 마쳤다고 설명했다. 독수리는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몽골과 러시아에서 번식한 후 월동하기 위해 한국 등지로 도래한다.

이런 가운데 환경단체들은 야생조류 보호 등을 위해 평택을 찾는 철새에 대한 조사‧관찰 등 기초자료를 확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만제 평택자연연구소장은 “큰부리큰기러기의 경우 수년 동안 관찰을 통해 죽백동 배다리저수지 등에 매년 찾아와 월동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나 독수리 등은 아직 데이터가 없다”며 “보호종과 생태계 교란종 조사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꾸준히 이어져 자료가 축적돼야 보호대책 등을 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독수리와 함께 발견된 가창오리 폐사체에 대한 조류독감 여부 검사결과는 음성으로 확인됐다. 야생동물질병관리원은 약물종류 등 정확한 폐사원인을 조사 중이다.

평택=안노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