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 복합물류터미널 도시발전 저해… 이전 등 대책 시급

군포시 부곡동 군포복합물류터미널이 교통ㆍ환경문제를 유발, 이전 등 대책이 시급하다.

11일 군포시와 한국복합물류㈜ 등에 따르면 지난 1997년부터 운영을 시작한 군포복합물류터미널은 1차례 확장을 거치며 현재 부곡동 451번지 일원 70만1천여㎡에 연면적 64만4천여㎡ 규모로 운영 중이다. 한국복합물류㈜의 내륙물류기지 4곳 중 가장 규모가 크다.

해당 시설은 국토교통부 소유로 BOT(Build-Own-Transfer)방식으로 CJ그룹 계열사인 대한통운 등이 30년 동안 사용을 계약하고 국가계획에 의해 공익목적으로 운영 중이다.

이런 가운데 인근에 국가 주택공급계획에 따라 당동2지구와 부곡지구, 송정지구 등이 조성되고 의왕초평지구와 대야지구 등에 이어 3기 의왕ㆍ군포ㆍ안산신도시가 조성되면서 기존 도시확장과 맞물려 사실상 도심 한복판에 대단위 물류기지가 위치하고 있는 셈이다.

이 때문에 도시단절과 교통ㆍ환경문제에 따른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시는 이에 최근 군포복합물류터미널 이전 필요성 관련 용역을 실시한 결과, 철도ㆍ항만ㆍ도로 복합운송을 위한 내륙물류기지 기능보다는 민간택배, 창고임대, 보관, 배송 등 단순기능이 상당 부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함께 이용 차량 중 하루 2만7천여대가 시가지를 이용하고 중ㆍ대형 화물차도 하루 3천여대가 통행하는 것으로 조사되면서 도로관리ㆍ교통혼잡비용, 대기오염ㆍ소음 등 환경비용으로 연간 850억원 이상의 사회ㆍ경제적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며 국가차원에서 이전 등을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 관계자는 “군포복합물류터미널 이전 등 대책을 모색하고 정부에 건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국복합물류㈜ 관계자는 “군포복합물류터미널은 국가 사업으로 국가가 부지를 선정하고 사업에 참여, 건물을 짓고 이후 30년 동안 투자비를 회수하는 중”이라며 “현재는 도심 한복판이지만 사업 초기에는 외곽지역이었다”고 말했다.

군포=윤덕흥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