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직선제’ 대통령... 1盧3金 시대 막 내려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을 지낸 노태우 전 대통령(87)이 26일 별세했다.
1932년 대구 출생인 노 전 대통령은 지난 2002년 암 수술을 받으며 건강이 악화됐고, 희소병인 소뇌위축증과 천식 등을 앓으며 오랜 병상 생활을 해왔다. 최근 병세 악화로 서울대병원에 입원, 의료진의 집중치료를 받았지만 이날 영면에 들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2009년), 김영삼 전 대통령(2015년), 김종필 전 국무총리(2018년) 등과 함께 노 전 대통령이 이날 영면하면서 과거 한국정치를 이끌었던 ‘1노(盧)3김(金)’ 시대가 완전히 막을 내렸다.
노 전 대통령의 빈소는 아직 마련되지 않았으며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질 것으로 보인다.
노 전 대통령은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1988년부터 1993년까지 대한민국 13대 대통령을 지냈다.
제4공화국 당시 전두환 씨와 함께 12·12 쿠데타를 주도한 뒤 정치인으로 전향한 노 전 대통령은 대통령 후보 시절인 1987년 6ㆍ29선언을 통해 민주화와 직선제 요구를 받아들이고 대통령에 당선됐다.
노 전 대통령은 국민투표인 직선제로 선출되며 헌정 사상 최초로 평화적인 정권 교체를 이뤘다는 평가를 받았다.
88서울올림픽 개최와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북방외교 등의 성과를 이뤘지만 전두환씨를 구속하지 못하고 12ㆍ12와 5ㆍ18 관련자 처벌에 미온적이어서 5공 청산에 실패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노 전 대통령은 퇴임 후 12·12 주도, 5·18 광주 민주화운동 무력 진압, 수천억원 규모의 비자금 조성 등의 혐의로 전두환 전 대통령과 함께 수감됐고 법원에서 징역 17년형과 추징금 2천600억여원을 선고받았다.
이후 복역 중이던 노 전 대통령은 1997년 12월 퇴임을 앞둔 김영삼 대통령의 특별사면 조치로 석방됐다.
유족으로는 부인 김옥숙 여사와 딸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아들 노재헌 미국 변호사가 있다. 딸 소영 씨는 남편인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이혼소송 중이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