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환 파주시장이 판문점 등 지적 복구에 대한 경과를 밝혔다. “판문점 평화의 집 등 DMZ 남측 일원에 대한 지적복구를 위해 주관부처인 국토교통부ㆍ통일부, 경기도 등과 협의를 완료하는 등 행정적 절차를 모두 끝냈다.” 남아 있는 절차는 행정구역결정과 조례개정 등의 행정 수순이다. 사실상 ‘DMZ 지적복구 프로젝트’가 완료됐음을 밝힌 것이다. 정전협정 이후 67년만이고, 관련 ‘프로젝트’ 추진 3개월여만이다.
문제의 땅은 진서면 선적리 19필지 7만2천805㎡와 장단면 덕산리 116필지 51만9천493㎡다. 현재 파주시 면적 672만여㎢의 10%에 달하는 거대한 땅이다. 1953년 정전협정 이후 유엔사령부가 관할해왔다. 우리 행정력이 미치는 데 상당한 제약이 있던 특수지역이다. 원래는 어엿한 지역공부가 있었지만 전쟁 통에 모두 멸실됐다. 휴전과 동시에 유엔사가 점유했고 우리 행정이 지적공부 복구 작업을 하지 못한 것이다.
대한민국의 주권과 직결되는 일이다. 대한민국의 모든 국토에는 지적공부가 있다. 독도의 작은 바위에도, 서해의 망망대해에도 주소는 있다. 그래서 대한민국 국토다. 이게 판문점 등 일대에는 없었다. 그야말로 ‘UN 눈치 보기’ ‘강대국 눈치 보기’였다. 바로 잡아야 할 굴욕의 역사다. 이 현장에 이제 주소가 당당히 부여됐다. 극미(克美)ㆍ극일(克日) 등 거창한 구호보다 중요한 일이다. 진정한 역사 바로 세우기다.
더 큰 의미도 있다. 시민ㆍ지역사회가 이뤄냈다. 파주시민연대가 공론화 했다. 관계기관에 호소했고 대국민청원 운동도 폈다. 파주시가 이 뜻을 받아 행정 절차를 시작했다. 최 시장이 ‘DMZ 지적 복구 프로젝트’ 추진을 공식화했다. 5월에는 “(추진 완료까지) 올해를 넘기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윤후덕 국회의원도 큰 힘을 보탰다. 이런 시민과 지역의 노력이 통일부ㆍ국토부 등의 움직임을 재촉했음은 물론이다.
파주시에는 당면한 과제가 있다. 판문점을 세계적 평화 관광지로 만드는 일이다. 남북 정상 간의 역사적 4ㆍ27선언이 있었던 곳이다. 미국 대통령과 남북한 지도자가 함께한 장소다. 그때마다 세계는 판문점을 주목했다. 분단의 상징에서 평화의 상징으로 변모했다. 이를 세계인이 찾는 명소로 만들 준비가 필요하다. 그 투자와 관리를 위한 기본 출발이 지적복구였다. 시민은 이 일을 해냈다. 장하고 평가받을 일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