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 투표소 전수조사 결과 대책 마련 시급
포천지역 투표소 상당수가 장애인 유권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환경인 것으로 조사돼 4ㆍ15 총선을 앞두고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2일 포천시장애인권리보장연대에 따르면 보장연대는 장애인의 참정권 보장을 위해 지난달 30일부터 사전투표소 14곳과 투표소 62곳 등 총 투표소 76곳에 대한 전수 조사를 실시한 결과, 장애인이 투표하기가 상당히 불편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장애인권리보장연대는 지난 9일 장애인 이동수단, 투표소 진입 확인(경사로 유무), 기표보조용구 준비상태, 전용주차장 확인, 전용화장실 유무, 점자블록 유무 등에 대해 중점 조사한 결과를 포천시 선관위에 제출, 시정을 요구했다.
조사 결과, 장애인이 입구부터 진입이 불가능한 투표소는 4곳으로 나타났다. 화현면 사전투표소는 투표장소가 엘리베이터가 없는 2층에 있었으며 화현면 제1투표소는 진입 경사로가 길고 가팔랐다. 또 영북면 제4투표소는 자갈이 깔려 수동휠체어는 진입이 힘들었고 영북면 제6투표소는 입구경사로 내부진입 시 약 20㎝의 턱이 있다.
이밖에도 시각장애인용 확대경, 점자투표보조용구와 밴드형ㆍ마우스피스형 기표용구를 갖춘 곳은 단 한 곳도 없었으며, 각 읍ㆍ면ㆍ동도 이러한 장애인용 기표보고용구가 있는지조차 모르고 있었다.
장애인 화장실도 전체 76곳 중 단 10곳만이 갖춰져 있었으며 이마저도 거의 창고나 청소도구함으로 사용되고 있었고, 남녀가 공용으로 사용하는 곳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일부 투표소는 장애인 주차장이 없는 곳도 있었으며,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록 설치도 20곳에 불과했다.
장애인보장연대 관계자는 “투표권을 행사할 때에 불편함이 없도록 편의제공은 물론, 제반환경의 구축과 단 한 명의 장애인도 편의시설의 문제 때문에 투표를 포기하는 일이 없도록 실질적인 대책을 내놓는 것이 마땅하다”며 “포천시와 선관위가 장애인에 대한 배려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가지고 있었다면 이 같은 불편함은 없었을 것”이라고 불만을 터뜨렸다.
이에 대해 포천시 선위는 “투표소 설치는 자신들의 권한이 아니라 포천시에서 하는 것”이라며 시에 책임을 떠넘겼다. 시 관계자는 “투표소 설치는 우리가 하는 것은 맞지만, 선관위의 설치 기준에 따라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포천시 선관위는 2018년 지방선거에서도 장애인 단체에서 이 같은 불편함을 호소 받았으나 2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포천시 핑계만 댈 뿐 장애인을 배려를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는 비난을 면키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포천=김두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