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 당정동 공업지역 ‘융복합형 R&D 혁신허브’ 탈바꿈

공업지역 활성화 시범사업 지구
국토부, 경기·인천 등 5곳 선정
장기간 방치 공장터 개발 속도

군포가 정부의 공업지역 활성화 시범지역으로 선정되면서 장기간 빈 공장터로 방치돼 있던 공업용지 개발에 속도가 붙게 됐다.

국토교통부는 21일 ‘공업지역 활성화 시범사업지구’로 군포 당정동 일반공업지역 등 전국 5곳을 잠정 선정했다. 경북 영천시(언하동 일원), 부산 영도구(청학동 일원), 부산 사상구(삼락동 일원), 인천 동구(화수동 일원)와 함께 경기도에서는 군포가 유일하다.

국토부는 지난 8월 공업지역이 형성된 전국의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업지역 활성화 시범사업’ 공모를 진행했다.

시범지역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정비 대상 토지를 확보한 후 첨단제조기술과 디자인융합 R&D 기업 유치, 근로자 지원 주택과 비즈니스호텔 건립, 산ㆍ학 연계시설 건립, 상업ㆍ문화ㆍ주거 관련 시설 건립 등을 진행한다. 내년부터 주요 사업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산업육성계획을 담은 구상과 기본설계 등을 마련해 오는 2021년 이후부터 연차별로 조성공사에 착수하게 된다.

당정공업지역은 1970년대 국가경제발전의 메카로 자리매김했으나, 2000년에 들어서면서 정부의 대기업 지방이전 정책과 열악한 기반시설, 지가상승 등으로 오랜 시간 슬럼화가 이어져 왔다.

이번 선정으로 당정동 일반공업지역은 국토부 주관하에 ‘융복합형 R&D 혁신 허브’로 탈바꿈, 내년부터 절차에 들어간다.

국토부 관계자는 “그동안 공업지역은 도심에 인접한 잠재력에도 체계적 관리와 정책지원이 없어 활성화에 어려움이 많았으나 앞으로는 관련 제도 마련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해 내는 경쟁력 있는 공간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대희 군포시장은 “공업지역 정비는 시의 역점 시책으로 군포의 새로운 100년 건설을 위한 토대가 될 것”이라며 “우수한 교통망과 지리적 이점, 풍부한 기술력과 인력 확보에 유리한 군포가 정부의 시범사업의 성공을 이끌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군포=윤덕흥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