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 양주’ 공염불… 장애인 교통권 뒷전

‘장애인 콜택시’ 택시회사 위탁 법정 확보대수 절반에도 못미쳐 
시설관리공단 운영방안 등 시급

양주시가 법정대수에도 크게 못 미치는 장애인 콜택시를 운영 중인 가운데 매년 민간업체에 수억원을 지원하면서도 이용률은 극히 낮아 운영주체 교체 등 전반적인 운영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8일 시에 따르면 시는 1·2급 중증 장애인 등의 대중교통 이용을 돕기 위해 장애인 콜택시 5대를 도입, 운영하고 있다.

현재 관내 1·2급 중증 장애인이 2천100여명임을 감안할 때 200명당 1대씩 운영토록 돼 있는 장애인이동보장법률에 따라 11대를 확보해야 하나 법정 확보대수의 50%에도 못미치는 수준으로 장애인의 대중교통 이용권을 제약하고 있다.

특히 인근 지자체들이 시설관리공단 등에 위탁해 이용률을 높이는 데 반해 양주시는 민간 택시회사인 한영택시에 매년 수억원씩 지원하며 위탁운영하고 있으나 이용률은 극히 저조한 실정이다.

시는 1대당 3천300만원씩 지원하던 운영비를 올해 대당 4천만원으로 인상했지만 하루 이용률이 2.7회로, 의정부시(6.3회), 동두천시(4.5회), 구리시(3.2회)와 대조되고 있다.

또한 콜택시가 사전예약제로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만 운영돼 이용자들이 제때 이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마저도 홍보 부족으로 장애인 복지콜택시 운행 사실조차 모르는 경우도 있다.

이에 양주시의회의 행정사무감사에서는 타 지자체를 벤치마킹해서라도 운영주체를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정덕영 시의원은 “매년 수억원을 지원하는데도 이용률이 낮은 것은 애초부터 운영주체를 잘못 선정했기 때문”이라며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운영주체를 시설관리공단으로 바꾸는 것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올 추경에 반영해 콜택시 2대를 증차할 계획이며 홍보를 강화해 이용률을 높이겠다”며 “운영주체 변경 등은 시설공단이 경영수익 악화를 들어 난색을 표하고 있어 충분히 검토해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양주=이종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