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급락 충격… 수출中企 피해 눈덩이”

91.5% “손익분기점 붕괴… 채산성 악화” 영세업체는 도산 우려도

최근 원화 강세가 지속되면서 수출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이 채산성 악화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최근 환율변동에 따른 중소기업 영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출 중소기업 91.5%는 환율 하락 때문에 채산성이 악화됐다고 응답했다. 이 중 59.6%는 ‘매우 악화’, 31.9%는 ‘다소 악화’라고 답했다. 업종별로는 금속·철강(75.0%), 고무·화학(71.4%), 기계(68.8%), 음식료(66.7%) 등의 순으로 채산성 악화가 우려됐다.

문제는 수출 중소기업들이 예상하는 손익분기점 환율이 이미 붕괴돼, 수출기업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중기중앙회에 따르면 수출 중소기업들이 예상하는 올해 손익분기점 환율은 1달러당 1천38.1원, 적정 환율은 1천86.3원이다. 엔화는 100엔당 1천59.4원, 적정 환율로는 1천100.6원으로 판단했다.

그러나 19일 현재 환율은 달러당 1천22원, 엔화는 1천88.09원을 기록해 손익분기점 환율과 적정 환율에 훨씬 못 미쳤다.

이에 기업들은 환율 하락에 따른 대응 방법으로 원가절감(43.6%), 수출단가 조정(38.3%), 대금결제일 조정(13.8%) 등을 통해 원가 및 수출단가 조정 노력을 하고 있지만, 채산성 악화를 방지하기에는 역부족인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환율 하락세에도 환리스크 관리를 하지 않은 기업이 16.0%에 달했다.

종사자 수 50인 이하 기업(21.5%), 수출 규모 50만 달러 미만(16.7%) 등 영세 수출 기업일수록 환리스크 관리가 미흡해 도미노 도산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환율 하락에 따른 정부 대책으로는 수출 중소기업의 80.9%가 ‘정부의 안정적 환율 운용’을 바랐다. 이어 무역 금융·보증 지원 확대(35.1%)와 환 변동보험 확대(12.8%), 환 관리 전문 인력 지원(5.3%)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