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항체형성율 기준치 미달… 양돈농가들 울상

지난 2011년 구제역으로 양돈농가들이 큰 피해를 입은 양주시가 최근 북한에서 잇따라 발생한 구제역에 대비해 방역활동 강화에 나서고 있으나 돼지농가들의 항체 형성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12일 양주시와 방역당국에 따르면 시는 지난 1월 북한 평양에서 돼지 구제역 발생에 이어 3월14일 한우농가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함에 따라 구제역 차단 방역에 나섰다.

시는 지난 4월 한 달간 공수의 5명을 동원, 소 1만7천983두, 돼지(웅돈) 128두를 대상으로 소 사육농가는 예방접종, 양돈농가는 농가 자가접종을 실시하는 정기 8차 예방접종을 실시하는 등 올들어 3만800여두에 대해 구제역 예방접종을 마쳤다.

또한 지난달 29일 지역 내 양돈농가 66농가 중 38농가를 대상(농가당 6마리)으로 구제역 예방접종 실태점검을 벌인 결과 11농가(28.9%)에서 구제역 항체가 60% 미만으로 나타나 추가 접종을 명했으며 4주 후 예방접종 확인검사를 실시키로 했다.

항체가란 예방접종 후 형성되는 방어 효과를 말하는 것으로 80% 이상 유지해야 발병을 막을 수 있으며 돼지의 경우 접종 부위에 고름이 생겨 농가들이 접종을 기피, 항체가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와 관련 시는 백신 미접종 등 방역 위반사항 적발 농가에 대해 항체가 형성되지 않은 농가는 과태료 500만원을 부과하고 축산정책 지원사업에서 제외하는 한편 살처분 보상금 삭감 등 불이익을 줄 계획이다. 그러나 일부 비육돈 농가의 경우 항체가 형성이 낮은 이유가 불명확하고 항체가가 떨어지는 시점의 출하 물량의 비육돈을 대상으로 검사했다며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비육돈의 경우 항체가가 안나오는 경우가 많아 추가접종 후 재검사할 계획”이라며 “앞으로 구제역이 재발하지 않도록 철저한 방역활동을 벌일 방침”이라고 말했다.

양주=이종현기자 major01@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