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 없는 밝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 가는 것, 나아가 보호관찰 대상자도 더불어 살아가는 ‘이웃’이라는 생각을 확산시키는 것이 바람입니다.”
최근 부천보호관찰소 상동 이전을 놓고 주민들의 반발로 신축이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보호관찰소의 이미지 쇄신을 위해 백방으로 뛰는 윤태영 소장.
윤 소장은 보호관찰제도를 범죄성을 개선해 정상적인 사회구성원으로 복기할 수 있도록 돕는 선진형 사정책이라고 강조했다.
즉, 집행유예로 사회에 방치된 비교적 범죄 위험성이 낮고, 재범우려가 없는 범법자를 가정과 학교, 직장에서 정상인으로 환원할 수 있는 치유·개선 프로그램인 셈.
윤 소장은 “일반 시민들이 보호관찰소를 교도소나 소년원 같은 중범죄인 수용시설로 오인해 혐오기피시설로 보고 주택지 인근 건립을 반대하고 있다”며 “그러나 보호관찰소는 법원·검찰청·경찰서처럼 지역사회 가까이 있어야 할 국가 필요기관이다”고 역설했다.
보호관찰소는 시민을 범죄로부터 보호하는 기관으로 지역사회 재범을 억제하는 효과와 청소년들에게는 ‘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교육기관으로서, 일부 시민들이 우려하는 중범죄인 수용시설이 아닌 시민을 위한 사회시설이라는 것이 윤 소장의 주장이다.
현재 부천보호관찰소는 전국 56개소 중 업무 규모로만 따지면 14위에 육박하지만, 이에 비해 시설은 최하위인 56위. 직원들의 근무여건이 상당히 열악할 뿐 아니라 청사 업무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상담업무는 프라이버시를 고려해 별도의 상담공간이 절실하지만, 전혀 없는 상태다.
이런 열악한 현실에도 부천보호관찰소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내실있는 사회봉사명령을 기획하고 집행함으로써 대민지원 사회봉사로 투병농가 비닐하우스 철거와 구제역 피해 축산농가 재건 지원, 농촌 일손 돕기 지원 등 소외 이웃을 위한 복리증진사업 등을 지원하는 도우미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또한, 지난해에는 보호관찰소 직원과 사회봉사대상자들이 운영하는 ‘사랑이 영그는 텃밭’서 수확한 배추 2천 포기를 복지시설에 전달하고 채소와 고구마를 불우 보호관찰 대상자에게 쾌척하는 등 지역사회의 든든한 구성원으로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끝으로 윤 소장은 “시민들이 보호관찰소를 오해의 시각이 아닌 안전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한 최일선의 재범방지 제도를 수행하는 더불어 사는 현대사회에서 꼭 필요한 기관으로 인식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부천=김종구기자 hightop@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