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시민연대, '종합운동장 역세권 개발계획'싸고 대립

부천시가 추진하고 있는 부천종합운동장 일대 ‘종합운동장 역세권 개발계획’에 대해 부천시민연대회의는 심각한 녹지 훼손이라고 비판하고 개발계획을 철회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3일 시와 부천시민연대회의에 따르면 시는 최근 지하철 7호선 종합운동장 역 주변 55만5천209㎡를 개발해 아파트와 첨단산업단지, 상업시설 등을 만들겠다는 ‘종합운동장 역세권 개발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역세권 개발계획에 대해 종합운동장역이 소사~대곡 철도와 7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으로 중요한 교통거점임으로 개발이 필요하고 연초에 김문수 경기지사의 상공회의소 신년회 방문에서 종합운동장역으로 광역급행철도(GTX) 노선이 지나갈 수 있다고 발언해 더욱 개발 당위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에 대해 시민연대회의는 역세권 개발 대상지는 전체 면적에 93.1%(51만7천㎡)가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으며 대부분이 녹지이고 원미산과 도당산을 이어주는 곳으로 녹지 확대를 천명한 김만수 시장이 돌연 녹지를 훼손하는 개발론을 펴는 것에 대해 반대의 입장을 밝혔다.

또한, 부천은 전국 최고의 인구밀도를 기록하고 있으며 녹지비율이 전국 최악의 수준으로 기존의 녹지를 보전하고 도심공원 등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 보다 나은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들은 “2002년 여월택지지구 개발계획을 중앙정부가 일방적으로 주도해 결정했지만 그 당시에도 이 지역은 녹지보전 차원에서 제외됐으며 부천시 장기계획에서도 녹지로 보전할 지역으로 지정돼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종합운동장 일대는 향후 사통팔달의 역세권으로 발전할 것이 확실하지만 만약 개별적으로 개발하다 보면 현재보다 더욱 심각한 난개발이 우려돼 전체적인 종합계획을 통해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개발시 28%의 녹지를 재조성할 계획이고 이 지역이 개발제한구역이 대부분이다 보니 국토부 전문가들이 개발 허가에 대해 녹지 훼손 부분도 판단할 것으로 향후 진행사항을 지켜봐야하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부천=김종구기자 hightop@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