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섭 교수, 미스매칭 해소위해 ‘산·학·연·관’ 역할 강화해야
양주지역 섬유산업 인력채용시 발생하는 미스매칭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현장중심형 교육과정 운영과 산·학·연·관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업체들은 인력 채용시 염색가공, 단순노무직을 원하는 반면 구직자들은 섬유소재와 패션디자인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이윤섭 서정대 교수는 지난 31일 양주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양주시 섬유패션산업 인력양성 포럼에서 ‘양주시 섬유패션산업의 인력양성 방안’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맞춤형 인력양성 개발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양주지역 섬유업체들은 필요한 인력을 확보하는데 있어 장애요인으로 낮은 임금수준과 외국인 근로자 채용 규제, 열악한 작업환경, 3D업종이란 잘못된 인식, 현장중심형 교육 부재 등을 꼽았다.
또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산·학·연·관이 참여하는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이 선결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설문조사 결과 섬유업체들은 향후 경쟁력 향상을 위해 주력해야 할 인력양성분야로 염색가공사, 연구개발직, 디자이너 순을 꼽았으며, 재직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훈련과 관련 필요성에 대해서는 높게(85.4%) 인식하고 있었으나 인력부족으로 인한 조업 차질, 적합한 교육기관 및 교육 프로그램 부족으로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섬유업체들은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이 현장중심 교육의 비중이 낮고 비현실적인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으로 인해 만족도가 낮게 나타남에 따라 기술인력 수급실태에 대한 분석과 수요조사를 실시, 분야별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 교수는 양주지역 섬유패션산업 인력 양성 방안으로 섬유패션 기술인력 개발과 양성, 현장중심형 기술인력 양성 로드맵 구축, 인적자원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 인프라를 구축하고 수요자 중심의 현장적합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분야별 일자리 내용 공시 등 지원체제를 정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종합토론에서는 서정대 신우성 교수를 좌장으로 손성군 한국섬유소재연구소 연구원, 홍현필 단국대 교수, 안재상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민복 창조패션 대표가 패널로 참여, 양주시 섬유패션산업 인력양성 방안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양주=이종현기자 major01@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