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한명이 CCTV 700대를 모니터링?

양주지역 ‘부실 관제’…실시간 감시 범죄예방 표류

최근 묻지마식 흉기난동과 각종 성범죄로 각 지자체가 CCTV 설치를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무려 700대에 이르는 양주지역 CCTV를 단 한 명이 관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4일 양주시와 양주경찰서에 따르면 양주지역에는 시·군 경계지역에 설치된 차량방범용 CCTV 54대, 주택가와 밀집지역 방범용 CCTV 646대 등 모두 700대의 CCTV가 설치돼 운용되고 있다. 특히 양주지역 CCTV는 2009년 생활방범용 CCTV 63대가 설치된 것을 시작으로 2010년 47대, 2011년 174대, 올해 357대 등 해마다 설치 대수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통합관제센터가 설치돼 있지 않은 탓에 700대에 이르는 고가의 CCTV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CCTV 관제 업무는 경찰서 한 켠에 마련된 상황실에서 생활안전계 직원 1명이 전담하고 있다. 한 명이 700개의 CCTV를 관찰하며 언제 어디서 벌어질 지 모르는 위급상황을 모니터링해야 하는 셈으로, 민간인 모니터링 요원조차 없어 실시간 감시를 포기하고 범죄발생시 검색 용도로만 사용하고 있다.

이 같은 문제를 해소키 위해 통합관제센터 설치가 추진되고는 있지만, 수년간 사업이 지연된 LH의 옥정신도시 U시티 구축과 병행 추진되고 있어 설치 시기를 가늠하기 어려운 상태다.

결국 기다리다 못한 양주경찰서가 치안협의회에서 수 차례에 걸쳐 통합관제센터의 조속한 설치를 요청했지만, 시는 별다른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다른 지역은 CCTV를 효율적으로 운용해 실시간 범죄자 추적까지 하는데, 우리 CCTV 관제 담당은 ‘일당칠백’을 강요받고 있는 셈”이라며 “경찰의 편의가 아닌 시민의 안전을 위해 통합관제센터 건립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LH와 옥정신도시 내 도시통합운영센터에 통합관제센터를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어 다른 곳에 설치할 경우 중복투자가 우려된다”며 “현재로서는 부지매입비용도 마련하기 어려운 상태”라고 말했다.

양주=이종현기자 major01@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