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자 문책 등 시민들의 질책 쏟아져
전철 7호선 양주 연장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지 못한 채 또다시 좌절되면서 ‘경기부부 역차별’ 등을 거론하며 다음 카페와 양주시 홈페이지 등에는 책임자 문책 등을 요구하는 글이 쇄도하는 등 후폭풍이 거세게 일고 있다.
14일 기획재정부와 양주시 등에 따르면 7호선 연장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GTX 반영시 B/C가 0.77, AHP는 0.401(시나리오1), GTX 미반영시 B/C는 0.81, AHP는 0.413으로 나옴에 따라 기재부는 ‘현재까지 제시된 데이터로는 더이상 사업을 추진하기 힘들다’는 결론을 내고 이같은 내용을 지난 10일 국토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을 추진하려면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 분석을 나타내는 B/C는 1.0 이상, 계층화 분석을 나타내는 AHP는 0.5 이상이 나와야 한다.
이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포털 다음의 양주신도시 카페와 양주시 홈페이지 등에는 7호선 연장 무산에 따른 관련자 문책과 향후 대응방안 마련 등 양주시와 정치권을 비판하는 글이 쇄도하고 있다.
김경호란 이름의 누리꾼은 시 홈페이지에 올린 글을 통해 “시가 중요한 시기에 늑장대응하다가 시민이 10년 넘게 노력해온 7호선 연장이 무산돼 너무 분하고 원통하다”며 “이는 무조건 담당자 근무태만이며 책임자를 문책하라”고 요구했다.
또다른 누리꾼은 “7호선 연장은 옥정신도시 분양이 성공하지 않으면 유치하기 어렵고 옥정신도시는 7호선 연장 없이는 성공하지 못한다”며 “기존 예비타당성 조사 방식으로는 통과 자체가 불가능하므로 ‘시범적 예비타당성조사’로 평가방식을 대체하는 것이 정책적 판단이 많이 개입될 수 있어 훨씬 유리하다”며 대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지역정가에서는 7호선 연장사업과 관련 이번 19대 총선에서 출마한 후보 모두 7호선 유치를 공약으로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새누리당 내부에서조차 엇박자 행보를 보이는등 곱지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주민 정모씨(56·덕정동)는 “7호선 연장이 좌절된 것은 시의 안일한 대처가 불러온 결과”라며 “관련자 처벌도 필요하지만 우선 새로운 대안을 마련해 관철시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대해 시 관계자는 “예타 결과가 기대한 것만큼 나오지 않아 당혹스럽다”며 “시민들의 질책을 겸허히 받아들여 새로운 대안을 마련해 7호선 연장이 관철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양주=이종현기자 major01@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