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 “충분한 검토없이 직영하려다 기술부족 인정한 꼴”
양주시가 자원회수시설의 재위탁 여부를 놓고 골머리(본보 10일자 11면)를 앓고 있는 가운데 결국 기존 운영사에 재위탁키로 방침을 정한것으로 알려져 빈축을 사고 있다.
26일 양주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0년 4월 양주시 은현면 봉암리 일원 4만6천600여㎡에 1일 처리용량 200t 규모의 양주권 광역자원회수시설(쓰레기소각장)을 완공, 양주하모니환경㈜에 2013년까지 3년 간 운영을 위탁했다.
시는 위탁 종료기한이 내년 1월 7일로 다가옴에 따라 지난해 8월 직영 방안을 검토하면서 기술 이전 습득 명목으로 팀장과 직원 3명으로 TF팀을 구성, 운영 전반에 대한 점검을 벌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 기술 습득은 물론 추후 시설 운영을 위해 전일계약직 나급 2명을 특별 채용하는 의욕까지 보였다.
하지만 검토 5개월만인 지난 1월 기술이전 어려움 등 기술력 부족을 실감한 시는 기존 운영사에 2016년까지 3년간 해당 시설을 재위탁키로 내부 결정을 내렸다.
시는 재위탁 이유로 국내 소각장 대부분이 시공사에 운영을 위탁한 점과 국내 유일 설비의 독점기술로 기술이전이 어려운 점, 직영 또는 시설관리공단 위탁시 운영 노하우와 기술력 부족으로 인한 시행착오 비용 우려 등을 꼽았다.
특히 시는 설비 고장시 신속한 해결과 기술적 문제 해결에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돼 재위탁을 통해 안정적인 운영기반을 구축한 뒤 직영을 위한 기술습득 기간을 가질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시의회는 지난 21일 행정협의회에서 “시가 섣부른 직영 추진으로 행정력만 낭비했다”며 성금합 직영화 추진을 질타했다.
이희창 의원은 “직영으로 전환하려면 특허권자의 시설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사람을 채용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직영 방안을 추진했지만 기술 습득 어려움 등으로 재위탁을 결정할 수 밖에 없었다”며 “추후 기술진단을 실시해 결과에 따라 행정적 조치와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양주=이종현기자 major01@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