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매 위기 특정인 토지·건물 시세가 67억에 매입 나서…市 “확정된 것 없다”
양주시가 수십억원을 들여 특정인 소유의 토지와 건물을 매입, 시 역사관 설치를 추진하고 나서 특혜 논란을 빚고 있다.
특히 시는 사용되지 않는 돌담 건물을 활용해 이 곳에 외부 내빈 접대를 위한 영빈관을 설치할 계획이어서 적정성 논란까지 일고 있다.
10일 시에 따르면 시는 67억3천여만원을 들여 유양동 560번지 송모씨 소유의 S조경 내 건물 3개동과 토지를 매입, 시 관련 역사자료와 각종 행정박물 및 역사기록물을 전시할 역사관을 설치하고 주변 경관을 정비해 시민공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시는 기존 3개동의 건물을 리모델링해 사무실 용도의 목조건물은 역사관, 미사용 중인 돌담건물(300여㎡)은 영빈관, 창고인 석조건물(138여㎡)은 수장고로 사용할 예정이다.
하지만 대상 부지는 송모씨 개인의 조경업체 소유로 현재 경매에 넘어갈 위기에 처한데다 토지 매입 38억2천935만원, 건물 3동 매입 4억782만원, 조경수 매입 10억원 등 사업비의 78%인 52억3천만원을 공시지가가 아닌 시세가 매입을 추진, 개인땅 고가 매입에 따른 특혜 논란을 빚고 있다.
또한 시의 부채 규모가 724억원에 이르는데다 올해 기채까지 발행하는 등 시 재정여건이 열악한 상황에서 시급하지도 않은 역사관 설립을 위해 67억원을 투입한다는게 적절한 지 여부도 논란이 예상된다.
특히 역세권개발 예정부지에 포함된 대상 부지를 제척해야 하는 문제와 15억원을 들여 7~8년간 사용하지 않던 건물을 리모델링해 활용이 의문시 되는 영빈관까지 설치하는 등 수십억원을 들여 매입한 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애물단지로 전락한 부메랑호텔과 같은 전례를 되풀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대해 시 관계자는 “양주시의 정체성 확립과 대외적인 시 이미지 향상을 위해 영사관 건립을 추진하게 된 것”이라며 “내년에 당장 추진한다는게 아니라 의회의 의견을 묻기 위해 의원간담회에 올린 것일 뿐 아직까지 확정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양주=이종현 기자 major01@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