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 섬유무역관 유치 손놨나

‘섬유메카’ 표방하면서 사업성 검토 등한시 도지사 면담 등 ‘유치에 올인’ 의정부시와 대조

 섬유산업의 중심지인 양주시가 무관심한 행정 탓에 섬유산업의 변두리로 전락할 우려를 낳고 있다.

 

 26일 경기도와 양주시에 따르면 도는 북부청사 주변에 들어선 450여개의 섬유벤더 업체를 집적화하기 위한 섬유무역관을 건립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의정부시는 지난 21일 안병용 시장이 김문수 경기지사를 직접 찾아 의정부시 녹양역 일대 20만㎡의 부지를 제공하는 등 섬유무역관 유치에 발 벗고 나섰다.

 

 그러나 양주시는 섬유산업의 메카를 표방하면서도 섬유무역관 유치에 대한 정보와 사업성 등을 검토하지 않는 등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섬유무역관의 양주시 유치는 시 재정 건전화와 직접 연결되는 사업인데도 시는 이와 관련한 내용을 모르고 있다.

 

 현재 북부청사 주변 섬유벤더 업체의 본사 소재지는 대부분 서울시에 등록된 상태로 본사에서 지출한 부가세 가운데 5%는 다시 지방소비세로 서울시가 돌려받고 있다.

 

 이로 인해 도는 섬유무역관 건립을 통해 현재 서울시로 빠져나가는 110억원(경기도 추산)의 지방소비세를 경기도로 가져와 무역관이 들어선 지자체에 교부금으로 돌려줄 계획이다.

 

 하지만 양주시는 섬유무역관 건립을 통한 지방소비세의 연결구조, 교부금 지원과 관련된 시 재정의 건전성 유지 등의 내용을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양주시 관계자는 “섬유무역관이 건립된다는 사실을 몰랐다”며 “양주시에 짓고 있는 섬유복합센터가 들어서면 해결되는 것 아니냐”고 밝혔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경기북부에 위치한 섬유업체와 벤더회사가 열심히 일하지만 결국 돈은 서울시가 돌려받고 있다”며 “재정환경 개선을 위해 반드시 섬유업체의 집약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주=이상열기자 sylee@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