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교육감, 마지막까지 편중·편파인사인가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의 지역편중·편파인사가 되풀이되고 있다. 며칠 전 3월1일자로 단행된 지역교육장·교장·장학관 등 전문직 및 관리직 인사는 980명에 달하는 대규모다. 호남 출신인 김 교육감이 지난해 4월 취임 이후 단행된 몇 차례 인사가 특정지역 출신 발탁으로 구설수에 오르더니 이번 인사도 예외는 아니다.

 

수원·안양 등 11개 지역교육장의 경우 호남과 충청지역 출신이 각각 4명으로 편중됐다. 특히 이 중 시흥·가평·포천 등 공모로 임용된 교육장 3명 모두가 특정지역 출신이다. 이러니 ‘공모직=김상곤사람’이란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또 특정지역 출신 장학관을 발령 6개월 만에 인사 담당 중등교육과로 이동시키는 등 초·중등 인사 라인을 특정지역 출신들로 채웠다. 본청과 지역교육청에도 국·과장급 장학관 5명이 이들로 전진 배치됐다.

 

반면 본청과 지역교육청에서 장학관과 과장으로 근무해 온 사람들이 주변의 기대와 달리 도교육청 직속 교육연수원으로 밀려나 형평성과 함께 공정성 논란을 빚고 있다. 물론 이번 인사에서 전 교육감 사람으로 분류된 인사가 지역교육장으로 기용된 사례가 있긴 있다. 하지만 이는 탕평 인사라기보다는 선거를 앞두고 상대적으로 홀대해 온 인천교대 출신들을 끌어 안기라는 것이 교육계의 평이다. 그만큼 이번 인사는 1백일 앞으로 다가선 선거를 의식한 작위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김 교육감 취임 이후 소위 힘 있는 자리에 특정지역 출신들이 두드러지게 배치됐고, 여러 부서에서 약진하고 있는 터에 이번 인사는 그가 구상한 선거체제에 쐐기를 박는 것으로 비쳐질 수밖에 없다. 지난 10일 교원 정기인사 땐 일제고사 거부로 문책 전보된 전교조 소속 여교사를 발령 6일 만에 전임지 인근 학교로 재발령했고, 한 학교 5년 근무 만기로 전보될 전교조 소속 교사를 그 자리에 눌러앉혀 말썽을 빚기도 했다. 상식을 벗어난 전교조 눈치보기다. 이런 인사를 한 교육감의 자질과 양식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인사편중·편파 시비는 지역갈등을 증폭시키고 교직사회에 냉소와 복지부동을 부르는 요인의 하나로 작용해 왔다. 게다가 특정 교대 인맥들이 배타적으로 행세해 왔고, 요즘엔 특정지역 인맥이 새로 생겨 인사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소리도 들린다. 이런 졸렬한 편 가르기가 교직사회에 주는 폐해를 이제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 인사 바로잡기는 지역화합과 교육개혁을 위해서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