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5 (토)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대학등록금 5년간 사립 165만ㆍ국공립 129만원↑

물가상승률의 최대 3배 '고공행진'…의학·공학 계열 가장 가파르게 상승

지난 5년간 전국 사립대와 국ㆍ공립대의 평균 등록금이 각각 165만원, 129만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교육과학기술부의 `2004∼2009년 국내 4년제 대학 등록금 인상률' 통계자료에 따르면 작년 사립대의 연간 평균 등록금은 742만원으로 5년 전의 577만원에 비해 165만원(28.6%) 올랐다.

 

국ㆍ공립대의 경우, 5년 전 290만원에서 작년 419만원으로 129만원(44.5%)나 치솟았다. 특히 등록금이 많이 오른 해의 인상률은 그해 물가상승률의 최대 3배 수준을 웃돌았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 물가상승률은 3.6%, 2.8%, 2.2%, 2.5%, 4.7%였지만 같은기간 사립대와 국ㆍ공립대 등록금 인상률은 5.9ㆍ9.4%(2004년), 5.1ㆍ7.3%(2005년),6.7ㆍ9.9%(2006년), 6.5ㆍ10.3%(2007년), 6.7ㆍ8.7%(2008년) 등이었다.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대부분 대학이 등록금 동결을 결정했던 2009년에는 등록금인상률이 사립과 국ㆍ공립 모두 최저 수준인 0.5%를 기록했다.

 

사립대의 등록금 증가 액수가 국ㆍ공립대보다 많긴 했지만, 인상률에서는 오히려 국ㆍ공립대가 사립대보다 높았다.

 

연도별 등록금 추이에서도 사립대와 국ㆍ공립대는 2004년 577만ㆍ290만원, 2005년 606만ㆍ311만원, 2006년 647만ㆍ342만원, 2007년 689만ㆍ377만원, 2008년 738만ㆍ416만원, 2009년 742만ㆍ419만원 등으로 2004년 국ㆍ공립대의 2배였던 사립대 등록금은 2009년에는 1.78배로 격차가 좁혀졌다.

 

1989년 사립대 등록금이 자율화된 데 이어 2003년 국ㆍ공립대까지 자율적으로 책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2003년 첫해 7.4% 인상률을 기록한 바 있다.

 

계열별 등록금 인상률에서는 사립대와 국ㆍ공립대 모두 의학과 공학계열이 가장 가파르게 상승했다.

 

사립대는 의대와 공대가 각각 780만원에서 1천4만원, 653만원에서 842만원으로 올랐고, 국ㆍ공립대도 의대가 462만원에서 676만원, 공대가 300만원에서 441만원으로 뛰었다.

 

의대는 2009년 전반적인 등록금 동결 분위기 속에서도 사립 7.3%, 국ㆍ공립 17.9%의 높은 인상률을 기록했다.

 

예체능, 자연과학, 인문사회계열은 5년간 각각 131만(국ㆍ공립)∼181만원(사립), 126만∼174만원, 115만∼143만원 인상됐다.

 

등록금 `고공행진'의 원인은 정부의 자율화 정책에 따라 대학이 공격적으로 각종 투자에 나서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분석이 중론이지만, 막대한 투자 비용을 학생과 학부모에게 전가하고 있다는 비판도 강하게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등록금 4.8% 인상 숭실대, 꼭 이래야만 했나? “등록금 인상 즉각 철회하라!”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