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성희롱 의혹 당사자 양우식 위원장 회의 주재
위원장의 직원 대상 성희롱 논란이 불거진 뒤 처음으로 열린 경기도의회 운영위원회 회의가 결국 논란의 당사자인 국민의힘 소속 양우식 위원장(비례) 주재로 열렸다. 오후 4시16분에 개회한 회의는 2024년 결산보고 및 2025년 추가경정 예산안 심의까지 단 20분 만에 종료되면서 졸속 심의라는 비판이 나온다.
18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당초 이날 오전 10시 열릴 예정이던 제384회 정례회 제1차 운영위원회는 양 위원장 논란으로 3차례 연기를 거듭했다. 이 의사봉을 잡을 것인가에 대한 논란으로 3차례 연기된 끝에 오후 4시16분 열렸다.
양 위원장은 이날 직원 성희롱 논란에 대해서는 단 한 마디의 언급도 하지 않은 채 “꼭 필요한 사업에 타당하게 예산이 집행됐는지 심도있게 논의해달라”며 집행부를 향해서도 “지적사항에 대해 개선방안을 모색해달라”고도 했다.
양 위원장은 통상 사진기자들이 회의 진행 중 자리를 옮겨가며 사진촬영을 하는 관행대로 취재가 이뤄졌음에도 자신의 뒤에서 사진 촬영을 한다는 이유로 “소란스럽게 할 거면 언론인들 다 나가라”며 소리를 지르는 등 당당한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심도있게 논의해달라는 당부와 달리 양 위원장의 발언 이후 곧장 비공개로 회의가 전환됐고, 정회된 상황 속에 국민의힘 소속 운영위 부위원장인 이은주 의원에게 의사진행권이 넘어갔다.
이 때부터 24건의 안건을 처리하는 데 불과 20분이 걸리지 않았다. 지난 1년의 사업 예산의 적정성을 심의하고,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의한 데 이어 조례안을 처리하기까지 사실상 안건 제목만 읽은 뒤 투표에 붙이기만 한 졸속 회의가 진행된 셈이다.
이날 운영위 앞에서 ‘성희롱 양우식 위원장 사퇴하라’는 피켓시위를 이어가던 노조는 분통을 터트렸다. 그동안 여러차례 양 위원장의 사퇴를 촉구해왔던 더불어민주당조차 이날 회의에 참석해 아무런 이의제기 없이 이 같은 과정에 동조했기 때문이다.
현재 운영위는 국민의힘과 민주당이 7석씩 동수로 나눠갖고 있어 한쪽의 일방적 동의 만으로는 안건을 처리할 수 없다.
노조 관계자는 “잘못된 걸 알면서도 동조한 민주당 역시 양 위원장의 태도에 동의하는 건지 궁금하다. 실망스럽다”며 “앞으로도 양 위원장이 사퇴할 때까지 투쟁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관계자는 “양 위원장의 성희롱 발언에 대해서는 기존에 내놓은 (사퇴해야 한다는)입장을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추경안이나 결산보고, 조례안 등을 소위를 통해 이미 논의를 마친 것이라 빠르게 진행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