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직원 대상 성희롱 의혹이 불거진 경기도의회 국민의힘 소속 양우식 운영위원장에 대한 제명을 촉구했다. 이들은 양 위원장이 의원직에서 사퇴할 때까지 연대 체제를 유지한 채 대응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경기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19일 오후 2시 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양 위원장에 대한 제명과 도의회 차원의 인권존중·성평등 문화를 위한 제도적 방안 마련을 요구했다.
연대회의는 “도민의 민심을 반영해 평등하고 민주적 정치를 펼쳐야 할 양우식 도의원이 오히려 직원에게 성희롱 발언을 한 사실이 밝혀졌다”며 “경기도민은 이 사건이 철저하게 조사되고, 가해자가 엄중하게 처벌되며, 다시는 같은 사건이 반복되지 않길 바란다”고 전제했다.
이어 “그러나 피해 신고 일주일이 지났지만 철저한 진상조사와 대응은 부재한 상황”이라며 “양우식 의원은 피해자와 도민에게 사죄해야 하지만 입장표명을 하지 않고 있고, 국민의힘은 당원 정지 6개월 및 당직해임이라는 미온적 처분을 내리고 남성 간의 대화였다며 감싸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대회의는 “미투 흐름에서 밝혀진 도의회 여성의원이 동료의원에게 성희롱 당한 사건, 사무처 내에서 발생한 성희롱 사건, 상습적 갑질 등 지난 시간 반복돼 온 사건들은 이를 하나의 개별 사건이 아닌 포괄적으로 바라보고 대응해야 하는 이유”라며 “현 사건의 올바른 해결이 선행되려면 철저한 조사와 가해자에 대한 엄중한 처벌, 관련 있는 곳의 책임을 묻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양 의원의 제명 역시 선행돼야 할 문제인 만큼 도의회는 양 의원을 제명하라”며 “시기가 늦어지는 것은 피해자의 회복을, 인권존중 평등한 도의회를 만드는 것을 지연시키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송성영 연대회의 운영위원장은 “분노를 넘어 인권을 헌신짝 취급하는 양우식 의원의 발언을 접하며 도의회의 수준이 어디까지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철저하게 진상조사를 하고 엄정하게 다뤄야 할 도의회가 미온적으로 대처하는 것을 보며 도의회에서 도민 인권이 지켜지고 있는지 반문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국민의힘의 솜방망이 처벌을 보고 도민을 위해 정치를 하는 당인지, 양 의원을 옹호하기 위한 당인지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국민의힘도 미온적 처벌에 공개 사과하고, 즉시 양 의원을 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양 의원 사태를 접하면서 경기도의회에서 드러나지 않은 상습적 갑질 문화가 존재하는 것 아닌가 의심할 수 밖에 없었다”며 “이번 사태의 재발방지 대책 첫 걸음은 양 의원을 즉시 제명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이정희 경기여성단체연합 사무처장은 “저급한 젠더의식이 드러난 일”이라며 “도의회 국민의힘이 이를 남자들의 사적인 대화라고 발표한 것은 이번 사건이 단순한 말실수가 아닌 양 의원과 국민의힘의 젠더의식을 그대로 노출한 것”이라고 평가하며 도의회를 향해 양 의원에 대한 제명을 촉구했다.
성희영 인권교육 온다 상임활동가 역시 “도민이 위임한 권한이 왜 약자에게 고통을 주는 도구로 전락하고, 조직은 미온적인 대응만 되풀이하나”라며 “도의회는 이번 사안을 엄정히 바라보고 진상조사와 양 의원에 대한 명확한 징계를 내리면서 의원 행동강령 조례의 실효성을 높이고 성희롱과 갑질 방지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앞서 도의회 익명 게시판을 통해 양 위원장이 지난 9일 소속 상임위원회 직원을 상대로 변태적 성행위를 지칭하는 단어를 사용, 성희롱했다는 폭로가 나왔다.
이후 국민의힘 경기도당은 윤리위원회를 열고 양 위원장에 대해 당원권 6개월 정지 및 당직 해임을 결정했지만, 솜방망이 처벌이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양 위원장은 이번 사건이 발생한 뒤 어떠한 입장도 밝히지 않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