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나라를 만들 것인가'… 첫 토론서 드러난 '4인 4색' 국가 비전

이재명 'AI·에너지·문화', 김문수 '기업·일자리·원전' 
이준석 '실용·첨단 기술, 권영국 '불평등 해소 사회 대전환'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18일 열린 첫 TV토론에 나선 왼쪽부터 국민의힘 김문수·민주노동당 권영국·개혁신당 이준석·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연합뉴스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18일 열린 첫 TV토론에 나선 왼쪽부터 국민의힘 김문수·민주노동당 권영국·개혁신당 이준석·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연합뉴스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18일 열린 첫 TV토론에서 주요 대선 후보들이 저성장 극복, 국제통상과 외교, 국가경쟁력 강화 방안 등 핵심 의제를 두고 치열한 설전을 벌였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스스로를 '유능한 국민 일꾼'이라 소개하며 서민경제 회복과 함께 AI·재생에너지·문화산업을 미래 성장 3대 축으로 제시했다. 그는 "이번 선거는 어떤 대통령을 뽑느냐보다 어떤 나라를 만들 것인가의 문제"라며 "국민 권력을 국민을 위해 제대로 쓸 유능한 대리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일자리 대통령'을 선언하며 규제 혁파, 인프라 확충, 청년 고용 확대를 통해 기업활동을 지원하고 산업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과거 지자체장 시절 추진한 GTX와 판교·광교 테크노밸리 조성 등 실적을 언급하며 "깨끗하고 유능한 서민 대통령이 되겠다"고 밝혔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기술 지도자'임을 내세우며 과학기술에 기반한 실용 외교, 규제 혁신을 통해 중국 등과의 기술 경쟁에 대응하겠다고 했다. 그는 특히 "AI 산업 투자와 농촌 기본소득을 동시에 추진하겠다는 이재명 후보는 재원 배분의 우선순위조차 명확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는 '불평등 해소'를 들고 나와 고소득자·대기업 증세, 재벌 개혁, 노동 복지 강화를 주장했다. 권 후보는 "이번 선거는 선택이 아니라 내란 세력에 대한 심판"이라며 "진짜 노동의 대표로 사회 대전환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주제별 토론에서도 후보 간 입장차는 극명했다.

 

중대재해처벌법을 두고 김 후보는 "처벌보다 예방 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AI·드론 기술을 노동현장에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이에 권 후보는 "예방을 회피해온 책임 때문에 이 법이 제정됐다"며 "산재 유족의 절규를 무시하지 말라"고 맞섰다.

 

외교·안보에서는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북핵 대응, 한미동맹을 둘러싼 공방이 이어졌다. 김 후보는 이재명 후보의 과거 사드 반대 입장과 중국 대사 압박 논란을 지적하며 한미동맹 관련해 "외교적 신뢰가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반면 이 후보는 "한미동맹은 안보의 기본축이지만, 중국·러시아와의 실용적 관계도 중요하다"며 "수출 대상국 다변화와 협상력 확보를 위한 신중한 외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북핵 문제에 대해 김 후보는 "미국의 확장억제력과 선제 타격 역량 확보가 필요하다"고 했고 이 후보는 "현실적으로 핵무장은 어렵고 확장억제를 기반으로 한 비핵화 외교가 해법"이라고 주장했다.

 

에너지 정책에서도 입장차가 두드러졌다. 김 후보는 "탈원전은 국가 경쟁력을 저해한다"며 원전 확대를 주장했고 이 후보는 "위험성과 폐기물 문제를 고려해 원전은 점진적으로 줄이되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병행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이준석 후보는 "풍력보다 저렴하고 효율적인 원전을 외면하면 산업 경쟁력을 잃는다"며 이재명 후보가 "환경론자 주장에 휘둘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국가 경쟁력 방안을 놓고도 후보들은 각기 다른 해법을 제시했다.

 

이 후보는 첨단기술 중심의 투자 확대, 김 후보는 기업 환경 개선과 전력 인프라 확충을 제시했다. 이준석 후보는 규제 철폐와 실질적 에너지 전략 전환을 권 후보는 불평등 해소와 노동 존중을 핵심으로 내세웠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