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사서원, 장애인 지역사회 통합지원모델 개발 연구 착수보고

이웅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정책연구실 연구위원이 ‘인천시 장애인 지역사회 통합지원모델 개발 연구’ 착수보고를 하고 있다. 인천사서원 제공
이웅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정책연구실 연구위원이 ‘인천시 장애인 지역사회 통합지원모델 개발 연구’ 착수보고를 하고 있다. 인천사서원 제공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이 장애인의 자립과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통합지원모델 개발에 나선다.

 

13일 인천사서원에 따르면 ‘시 장애인 지역사회 통합지원모델 개발’을 지난 3월부터 12월까지 연구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인천사서원 산하 시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의 조사연구 사업의 하나로, 지역 장애인들이 실질적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전달체계를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

 

인천사서원은 장애인 당사자와 가족, 장애인복지관, 자립생활센터, 거주시설 종사자 및 보건 분야 관계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이용 방식과 접근성 등을 조사한다. 또 보건복지부와 타 시·도의 정책 사례, 인천의 관련 정책을 분석하고 전문가 자문을 거쳐 지역 실정에 맞는 통합지원모델을 찾을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특히 장애인 정책의 변화가 활발히 이뤄지는 시점에 추진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올해 초 국회에서 ‘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 및 주거 전환 지원에 관한 법률(장애인자립지원법)’을 제정해 2년 뒤 시행을 앞두고 있으며, 내년에는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도 시행 예정이다.

 

이웅 인천사서원 정책연구실 연구위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공적 지원이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 2018년 수립한 ‘1차 탈시설 및 지역사회통합 5개년 계획(2019~2023)’에 따라 지금까지 58명의 장애인이 자립했다. 또 2021년에는 시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를 설치하고 2022년부터는 복지부의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시범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