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사 출신 맞대결’... ‘보수 단일화’ 뇌관 작용 민주, 이재명 선거법 파기환송 부담 vs 국힘은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뇌관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20여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후보를, 국민의힘은 김문수 후보를 각각 선출하면서 본선 경쟁구도가 그려졌다. 특히 두 후보 모두 과거 경기도지사를 지낸 인물로 ‘경기지사 대결’이라는 상징적 구도가 형성됐지만 이 후보는 사법 리스크가, 김 후보는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와의 단일화 논의가 해결 과제로 남았다.
6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이 후보는 대선 경선을 통해 팬덤 결집에는 성공했지만 높은 비호감도와 외연 확장 한계, 여기에 사법 리스크까지 겹치며 본선 승리에 적신호가 켜졌다. 특히 ‘이재명 일극체제’를 둘러싼 경계심과 국민의힘의 정조준 공세 속에 이 후보가 삼중 난관을 돌파할 수 있을지가 이번 조기대선의 최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후보는 이날 충북 옥천군의 한 전통시장에서 “정치적 이유로 누군가를 죽이고, 미워하고, 증오하고, 혐오하고, 대결하는 세상은 좀 아니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런 발언은 최근 대법원이 자신의 공직선거법 사건을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한 것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민주당은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파기환송심 재판을 앞두고 사법부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윤호중 선대위 총괄본부장은 같은 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대선 출마 후보 등록이 완료되고 선거 운동이 시작되는 12일 이전까지 선거운동 기간 중 잡혀있는 출마 후보들에 대한 공판 기일을 모두 대선 이후로 변경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12일까지 연기를 하지 않을 경우 대법원장이나 대법관 탄핵에 돌입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국민이 부여한 모든 권한을 동원해서 이 사법 쿠데타가 진행되는 것을 막겠다”고 부연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도 본선주자로 확정됐지만 무소속 한덕수 후보와의 단일화가 최대 뇌관으로 남아 있다.
김 후보는 당 후보로 선출된 이후 단일화에 선결조건을 내세우며 논의를 거부해왔고, 당 지도부와의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단일화 약속을 무너뜨리면 국민을 배신하는 것”이라고 경고했고, 김 후보 측은 당 지도부가 자신들을 배제하려 한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오는 10~11일 예정된 전당대회를 두고도 갈등이 이어졌다. 김 후보 측은 “당헌·당규를 고쳐 후보를 몰아내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제기하면서 이날 대선 후보로서의 일정을 전면 중단했고, 지도부는 “단일화에 대비한 정당한 절차”라며 진화에 나섰다. 정치권에선 단일화 마지노선을 7일 또는 11일로 보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양강 구도는 완성됐지만 ‘사법 리스크’와 ‘단일화 변수’ 두 개의 불확실성이 대선 판세를 흔들고 있다”며 “각 진영 앞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따라 표심의 행방이 갈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