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27만명 농번기 인력수급 지원…농번기 인력수급 상황실도 운영

양주시 백석읍 강석진 농가에서 외국인계절근로자가 오이 순을 다듬는 모습. 경기도 제공
양주시 백석읍 강석진 농가에서 외국인계절근로자가 오이 순을 다듬는 모습.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농번기를 맞아 일손 부족에 시달리는 농촌 현장을 돕기 위해 27만명의 인력을 공급한다.

 

도는 농촌인력중개센터 구직자부터 외국인 계절근로자, 자원봉사 인력까지 총 27만여명을 공공부문에서 공급해 농촌 인력난을 해소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농촌인력중개센터 및 공공형 계절근로 인력중개 약 4만2천명, 농협 및 단체 일손돕기 약 18만명, 법무부 사회봉사명령 약 3만6천명 등이다. 또 농가형 계절근로자 약 4천명, 고용허가제 외국인 근로자 약 8천명도 포함된다.

 

도는 시·군과 협력해 농번기 인력수급 지원 상황실을 6월까지 운영할 계획이다. 화성·평택·파주·김포·포천·양평·안성·여주·연천 등 농촌인력중개센터 및 공공형 계절근로를 운영하는 9개 시·군 중심으로 현장의 농작업 진행 상황, 인력 수급 및 임금 동향 등을 주간 단위로 모니터링한다.

 

현재 19개 시·군에 3천32명의 외국인 계절근로자가 고용돼 농가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도는 농작업 유형별로 근로 수요가 다양하다는 점을 고려해 맞춤형 인력 배치를 추진 중이다.

 

농촌의 일손 유형은 ▲상시근로 ▲계절근로 ▲일시근로 ▲수시근로 등 네 가지로 구분되며, 분야와 시기에 따라 필요 인력이 달라진다. 상시근로는 축산과 시설원예 분야 등 상시 노동력이 필요한 분야에 고용허가제(E-9)를 통해 외국인을 3년 이상 장기 고용하는 형태다. 계절근로는 5~8개월 과수나 채소 등 수확 시기에 인력이 집중되는 품목에 대해 계절근로자(E-8)를 단기간 투입하는 방식이다. 일시근로는 농촌인력중개센터나 공공형 계절근로를 통해 단기적이고 비연속적인 수요에 대응하고, 수시근로는 가족 단위 농가의 자가노동 중심이다.

 

박종민 도 농수산생명과학국장은 “농작업 유형과 시기에 따라 정밀하게 인력 지원 체계를 운용할 예정”이라며 “공공과 민간이 힘을 합쳐 현장 중심의 실질적 인력 지원 체계를 정착시키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