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한발 물러섰지만...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갈등 표출 [6·3 대선]

당 안팎 “후보 체면 살려준 것일 뿐” 불만 시선 여전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왼쪽)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가 5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봉축법요식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왼쪽)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가 5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봉축법요식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단일화를 둘러싸고 국민의힘이 김문수 대선 후보와의 정면충돌을 피하기 위해 한 발 물러선 모양세다.

 

5일 밤 비공개로 열린 비상 의원총회에서 당 지도부는 김 후보가 요구한 단일화 전담 기구 설치와 당직 임명권 수용이라는 결정을 내렸다.

 

이를 두고 갈등의 불씨가 표면적으로는 진화된 듯하지만, 내면엔 여전히 불만과 불신이 얽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 후보는 무소속 한덕수 예비후보와의 단일화 논의가 당 중심으로 일방 추진되는 데 반발해 왔다. 김 후보는 선대위 구성권과 사무총장 등 핵심 당직 임명권을 요구했다. 당 지도부에서 거부하자 "당무 우선권을 무시한 월권"이라고 강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결국 당지도부는 6일 김 후보 의견을 뒤늦게 수용했지만, 당내 분위기는 냉랭함이 감지된다. 전날 의원총회에선 “너무 믿었다”, “이건 사기 행각”이라는 격앙된 표현까지 터져 나온 것으로 전해진다. 일부 의원은 후보 교체론을 언급하기도 했고, 한 중진 의원은 “단일화를 적극 외치며 지역에 다녔는데 정작 김 후보가 거부감을 드러내니 민망하다”며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출하기도 했다.

 

의원총회에서 합의된 지도부 결정은 ‘갈등 봉합’이라기보다 후보 ‘체면 살려주기’에 가깝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 정치평론가는 “김 후보가 요구한 틀은 받아들였지만, 실제 단일화 협상의 주도권은 여전히 당이 쥐고 있다”며 “추진기구 설치는 명분용이고, 실질적 권한은 선대위 중심으로 갈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단일화 ‘데드라인’으로 거론되는 7일 또는 11일이 임박한 가운데, 국민의힘은 다시 결단을 요구받고 있다. 단일화를 통해 중도 외연을 넓히고 정권재창출이라는 대의에 힘을 모을 수 있을 것인지, 내홍 속 자중지란을 겪을 것인지 기로에 선 셈이다.

 

당내 한 관계자는 "결국 관건은 김 후보의 입장 변화이다"라면서 "단일화 실현을 위해선 그가 한덕수 후보와의 연대 구상에 동의하고, 단일화 방식과 일정에 협조해야 한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