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공공기록물을 보관하는 서고(書庫)가 포화상태(경기일보보 4월28일자 1면)인 가운데, 인천시가 오는 2031년을 목표로 인천기록원 건립에 나선다.
3일 시에 따르면 인천시 신청사 건립과 연계, 370억원을 들여 현재 민원동 건물을 리모델링해 연면적 9천381㎡(2천837평) 규모의 기록원을 설립할 계획이다. 시는 약 34명의 운영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인천기록원은 보존서고, 사무실, 작업실, 열람실, 전시실 등 서고 기능은 물론 교육 및 문화 기능 등을 포함한 복합 공간으로 만들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시는 최근 기록원 건립에 대한 ‘타당성 조사 자문회의’를 열고 공공기록물법에 따른 법률적 타당성을 비롯해 입지 조건에 따른 시민들의 접근성 및 수요 등을 확인했다.
다만, 시는 기록원 건물의 신축도 고심하고 있다. 기록원이 들어설 민원동 건물이 이미 30년이 지나는 등 노후해 법적 내구연한 상 앞으로 20년 밖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민원동 건물은 종전 건물을 활용하기 때문에 사무공간, 서고 및 보존공간 시민개방구역 등 기록원 기능과 특성에 맞는 건축 설계가 어렵다.
반대로 신축은 기록원 기능과 작업 동선에 맞춰 설계가 가능하며, 약 100만권의 기록물을 보관하는 등 늘어나는 기록물들을 안전하게 수집 및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599억원의 막대한 예산과 함께 건물 철거부터 설계, 공사까지 5년 이상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배덕상 인천공공투자관리센터 연구위원은 “신축이나 리모델링의 장점과 단점이 뚜렷하기 때문에 무엇이 맞냐, 아니냐가 아닌 정책의 의지”라고 말했다. 이어 “기록원 설립에 많은 예산이 들어가는 만큼, 좀 더 효율적인 방안에 대해 논의해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 관계자는 “현재는 기록원을 설립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과 효과 등을 확인한 단계”라며 “신청사 준공까지 기간이 좀 남아있는 만큼, 전문가 등의 의견을 모아 최적의 설립 방식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 본청 지하 1층에 있는 서고는 13만8천166권에 이르는 기록물로 가득차 포화 상태다. 또 기록물 보존·관리 업무를 담당할 인력도 부족해 시 기록물들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데 어려움은 물론 파손이나 분실 위험 등도 커 기록원 설립이 시급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