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주4.5일제 등 경기도 노동정책 확산돼야…노동이 중심”

30일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경기종합노동복지회관 대강당에서 열린 ‘제135주년 노동절 기념행사’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이진기자
30일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경기종합노동복지회관 대강당에서 열린 ‘제135주년 노동절 기념행사’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이진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윤석열 정부의 퇴행과 역주행에 마침표를 찍고,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드는 원년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30일 경기종합노동복지회관 대강당에서 열린 ‘제135주년 노동절 기념행사’에서 이 같이 밝히며 “노동이 중심이 되는 나라, 모두의 삶을 향상시키는 정책이 전국으로 확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는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이하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가 주관했으며 김 지사를 비롯해 박해철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안산병), 허원(국민의힘·이천2)·이용호(국민의힘·비례)·김선영 경기도의원(민주당·비례),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 김연풍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 의장, 김춘호 경기경영자총협회장 등이 참석했다.

 

김 지사는 축사에서 “17살 소년가장으로 생활전선에 뛰어든 이래 불공정과 차별을 온몸으로 겪었다”며 “그 기억이 지금의 노동정책, 사회정책에 반영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득권 안에서도 기득권을 내려놓는 자세로 사회변화를 위해 살아왔다”고 덧붙였다.

 

그는 “주4.5일제, 0.5&0.75 잡 프로젝트 등 경기도에서 실증하고 있는 노동정책이 삶의 질과 효율을 함께 높일 수 있다고 확신한다”며 “이제는 전국적으로 확산돼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임신·출산 여성 노동자의 경력 단절을 막기 위한 시간제 근무 정책이 이미 시행되고 있다”며 경기도가 선도하고 있는 변화를 소개했다.

 

김 지사는 윤석열 전 정부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도 이어갔다. “지난 3년간 역주행한 경제, 외교, 교육, 노동정책의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며 “단순한 정권교체를 넘어선 ‘새로운 대한민국’ 건설에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공무원 노동자에 대한 배려도 강조했다. 그는 “공무원도 노동자다. 그래서 경기도는 1만7천여 공무원이 5월 중 하루를 특별휴가로 쉴 수 있도록 했다”며 “소방대원도 포함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쉴 수 있게 했다”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또 민주당 제21대 대통령선거 경선에서 자신이 제기한 정책들을 언급하며 “정부·재정의 적극적 역할, 권력구조 개편을 포함한 개헌, 여성정책, 기후위기 대응 등 그 누구도 하지 않은 얘기를 했던 것에 큰 보람을 느낀다”며 “말과 구호가 아닌, 경기도에서 해왔던 실증정책을 전국에 확장하겠다는 의지”라고 전했다.

 

끝으로 그는 “오늘 노동절을 진심으로 축하드린다”며 “도의회와 함께 노동의 존엄과 권익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마무리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