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행복도, 시·군 간 격차 커져…“맞춤형 행복 정책 필요”

도의회, 관련 정책연구 보고서
평균적 ‘행복지수’ 상승세에도
시·군 간 차이↑ 정책 지원 필요
과천·양평 ‘최고’… 평택 ‘최저’

경기도청사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청사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민의 행복도가 증가하고 있지만 지역 간 행복도 격차는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민의 행복을 위한 제도와 환경을 조성하도록 한 조례가 있는 만큼 행복도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8일 경기도의회가 사회복지법인 에스더블유 복지재단에 의뢰한 ‘경기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경기도민의 행복지향 정책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14개 광역시·도 가운데 경기도의 행복 정도(10점 만점)는 6.3점으로 서울특별시(6.6점), 전라남도(6.6점), 강원도(6.4점), 충청남도(6.4점)에 이어 5위를 기록했다.

 

경기도 행복 평균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2021년 6.0점, 2022년 6.3점, 2023년 6.4점, 지난해 6.5점이다. ‘자주 행복했다(10점)’ 응답 비율 변화를 살펴보면 2021년 4.2%에서 2022년 5.5%, 2023년 6.6%, 지난해 8.4%로 증가했다. 극단적으로 불행한 도민 비율 역시 감소하고 있다. ‘한 번도 행복하지 않았다(0점)’ 응답 비율 변화를 살펴보면 2021년 0.8%에서 2022년 이후 0.5~0.6% 수준으로 줄었다.

 

하지만 31개 시·군 간 행복도 격차는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에는 최고 행복도와 최저 행복도 지역 간 차이가 0.7점이었지만 2023년, 지난해에는 격차가 0.9점으로 늘어났다. 지난해 최고 행복도 지역은 과천과 양평으로 7.0점을 받았고, 최저 행복도 지역인 평택시는 6.1점을 받았다.

 

특히 행복도가 높은 지역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반면 낮은 지역은 정체되거나 상승 속도가 더뎠다. 평택·포천·시흥·안산·동두천·여주 등은 매년 행복도가 낮은 지역으로 분류됐다. 평택의 경우 4년 연속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경기 남부 지역과 북부 지역으로 비교해 보면 4년 동안(2021~2024년) ‘자주 행복했다’라는 응답률은 일관되게 상승하고 있지만, 남부는 북부보다 상대적으로 ‘자주 행복했다’에 더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에 행복도가 낮은 지역에 대한 도 차원의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도가 지난 2021년 제정한 ‘경기도민 행복 증진 조례’에는 도민의 행복 증진을 위해 종합적인 시책을 수립하고 추진해야 한다는 근거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김민호 도의회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부위원장(국민의힘·양주2)은 “수도권 중심지에서 벗어난 경우 생활 여건이 부족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생활인프라 개선 등 맞춤형 행복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며 “31개 시·군의 행복 정도를 예산을 세우거나, 정책을 추진할 때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