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IPA)는 최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창립 20주년을 기념해 ‘인천항 현황과 미래발전전략 세미나’를 열고 인공지능(AI) 시대의 인천항 물류체계 과제와 발전방안을 논의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한국항만물류전략원과 ㈔한국국제상학회가 공동 주관했다. 급변하는 물류 환경 안에서 인천항의 미래비전과 전략을 공유하고, AI 기술을 활용한 항만발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했다. 행사는 3개의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으로 이어졌으며, 국내 항만·물류 분야의 전문가들이 연사로 나섰다.
1번째 발표를 맡은 송상화 인하대학교 교수는 ‘인천항 2035: 항만물류전략 현황과 도전과제’를 주제로 인천항의 환경 변화와 도전 요소들을 진단했다. 또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부가서비스 개발과 AI, 스마트 항만 기술을 활용한 협력 생태계 구축을 강조했다. 이어 정태원 성결대학교 교수는 ‘인천항 수출입 전자상거래 물동량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을, 배혜림 부산대학교 교수는 ‘AI에 기반한 스마트 항만물류체계 구축방안’을 각각 발표했다.
종합토론은 김승철 영남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았다. 이어 한재필 숭실대학교 교수와 노진호 순천향대학교 교수, 양현석 지팬스스마트로 대표, 최수범 고려대학교 부소장, 천상필 천경해운 소장 등이 참여해 인천항 정책 방향성에 대한 심층 토론을 했다.
이경규 IPA 사장은 “20여년간 쌓아온 성과를 바탕으로 이제는 혁신 기반의 미래형 항만으로 도약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세미나가 인천항이 지속가능한 복합가치항만으로 거듭나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