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공공기록물 ‘포화’… 인천 기록원 설립 시급

계양체육관 지하1층에 있는 서고. 인천시 제공
계양체육관 지하1층에 있는 서고. 인천시 제공

 

인천시의 공공기록물을 보관하는 서고(書庫)가 포화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안팎에선 인천기록원 설립을 통해 공공기관이 생산하거나 접수한 기록물들을 체계적으로 관리 및 보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7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의 비전자기록물은 지난 2024년 기준 모두 13만8천166권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이기록물(문서·대장·카드·도면) 13만779권, 시청각 자료 352점, 행정박물 3천232점, 간행물 652권, M/F(마이크로필름) 3천151롤 등이다.

 

현재 이 같은 자료들은 인천시청 본청 지하 1층에 있는 1서고(267㎡·80평)·2서고(150.5㎡·45평)와 계양체육관 서고(236.5㎡·71평) 등에 보관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이들 서고가 포화상태로, 더 이상의 기록물들을 보관할 공간이 부족하다. 현재 나머지 기록물은 인천시의 각 실·국 수납장에 각각 따로 보관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록물 이관 및 폐기 등 기록 관리 업무의 통합 관리가 안 되는 것은 물론 기록물 정리·보존이 미흡하거나 파손 및 분실 위험 등의 우려도 크다.

 

특히 인천 기록물 보존·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인력도 부족하다. 기록물관리팀의 인력은 7명 뿐이고, 이 중 기록연구사는 3명에 불과하다. 이로 인해 단순 기록물을 보관하는 것에 그치는 등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다각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지역 안팎에선 지역 공공기록물들을 체계적으로 보존 및 관리하는 것은 물론, 더 나아가 수집한 기록물을 활용해 다양한 콘텐츠를 마련할 수 있는 인천기록원 설립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게다가 지난 2007년 개정이 이뤄진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은 기록물관리를 총괄·조정하고 기록물을 영구보존·관리하기 위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을 설치 및 운영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시는 예산 등의 문제로 인천기록원을 설립하지 않고 있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2019년 서울기록원을 설립해 시정기록 및 서울시민들의 기록 등을 수집, 전문적으로 보존·관리하고 있다. 또 대시민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공공아카이브와 더불어 열람·전시·문화·교육 등 다양한 시민프로그램을 기획 및 운영하고 있다. 경상남도도 지난 2018년 기록원을 설립, 지역의 보관가치가 있는 민간기록물까지 수집해 기록문화유산으로 전승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현재 공공기록원 설립을 위한 타당성 검토를 추진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인천 공공기록물들의 체계적인 기록물 관리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