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가 시민주도형 탄소중립 환경운동으로 기후위기에 대처하기로 했다.
시는 24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정책브리핑을 열고 ‘시민 중심 기후적응사회 광명’ 비전과 광명형 탄소중립 정책 성과 및 방향을 발표했다.
‘기후적응사회’는 기후위기를 환경 분야 외에도 경제, 교육, 복지 등 사회 모든 영역에서 고려하고 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캠페인이다.
시는 앞서 지난 2018년 전국 지자체 최초로 기후에너지 전담 부서인 기후에너지과(현 탄소중립과)를 신설하고, 지난 2020년 수도권 최초로 기후에너지센터(현 탄소중립센터)를 여는 등 탄소중립정책 실현 위한 제도적 기반을 선도적으로 마련했다.
이어 시민참여 모델로 지난해 9월 참여자 1만명을 돌파하며 광명의 대표적 시민주도형 기후운동으로 거듭난 ‘1.5℃ 기후의병’을 비롯해 광명시민에너지협동조합, 광명시민전력협동조합 등과 재생에너지 생산을 위한 민관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아울러 시민 공감대 형성과 연대 강화를 위한 새로운 탄소중립 정책인 ‘광명시 기후주간’을 운영한다.
기후주간은 ▲기후회의와 포럼을 중심으로 한 정책 부문 ▲우수사례 공유회와 영상 공모전 등 시민 참여 및 콘텐츠 부문 ▲기후뮤지컬, 기후영화제 등 문화 프로그램 부문으로 구성된다.
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보급 융복합지원 사업’과 ‘기후대응 실천 우수 아파트 선정 사업’을 추진하는 등 탄소중립 정책을 확장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박승원 시장은 “시민이 정책 수요자를 넘어 ‘정책 생산자이자 동반자’로 탄소중립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실천 모델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