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언제·어디나 돌봄·의료’, ‘경제살리Go프로젝트’ 등 사업을 추가한 2025년 책임계약을 19개 산하 공공기관과 체결했다.
21일 도에 따르면 ‘책임계약’은 도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사업을 발굴해 이듬해 도민들의 평가를 받는 제도다. 도민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는 공공기관의 책임과 역할을 강화, 사업 성과를 내도록 지난 2023년 도입됐다.
도는 책임계약 기관을 지난해 14개에서 올해 19개로 확대하고 사업도 추가해 14개를 운영한다. 추가된 사업은 ▲야간 및 휴일 장애 돌봄프로그램과 도민 대상 재택방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언제·어디나 돌봄·의료’ ▲전통시장 및 골목상권 대상 통큰 세일과 소상공인에 운영비 전용 경기 소상공인 힘내Go 카드를 지원하는 ‘경제살리GO 프로젝트’ ▲첨단산업 핵심인력을 양성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RISE)과 중·고등학생 대상 반도체 교실 등을 운영하는 ‘미래인재육성 프로젝트’ ▲기존 수요응답형 똑버스를 확대․개편 하는 ‘부르면 오는 관광․통학형 똑버스’ 등 4개 사업이다.
지난해 선정된 ▲경기청년 기회주택 ▲베이비부머 기회 일자리 ▲공용 전기요금 제로 아파트 ▲햇빛 자전거길 조성 ▲경기 노인 AI+ 돌봄 ▲아이가치 돌봄 픽업 서비스 ▲경력단절 없는 0.5&0.75잡 ▲K-POP 공연장 지정 ▲경기청년 예술인 기회 오디션 ▲중소기업 성공 프로젝트 등 10개 사업도 사업량 확대 등 새로운 목표를 설정해 사업 고도화에 나설 계획이다.
지난해 추진한 사업 성과에 대한 평가는 목표달성도와 전문가 평가, 도민 여론조사 결과 등을 합산해 오는 5월 발표할 예정이다. 평가 결과에 따라 우수 기관에는 경영평가 우대, 표창 등의 인센티브가 부여된다.
김성중 도 행정1부지사는 “올해도 도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기관들이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해 주길 바란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