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 하남시 버스킹 등 축제관련 예산심의가 남긴 교훈

김동수 경기일보 지역사회부 기자

image

우리말에 ‘거시기’라는 표현이 있다. 다소 표현하기 어려운 단어나 생각이 나지 않은 뭔가를 말할 때 뭉뚱그려 사용하는 대명사다.

 

지난 18일 하남시의회 자치행정위원회 추경예산안 심의 중 버스킹 등 축제 예산을 둘러싼 일부 의원의 행보가 그 거시기인 듯한 이유는 뭘까.

 

이번 2회 추경예산안 심의 중 최대 관심 포인트는 단연 버스킹 등 축제 예산이다.

 

시는 그동안 본예산과 1회 추경예산안 등 2회에 걸쳐 축제 예산 편성을 요구했으나 좌절됐다.

 

그러자 이달 2회 추경예산안에 또다시 예산을 편성, 심의를 요청했다. 세 번째 기싸움이다.

 

사정이 이렇자 미사지역 주민들이 직접 나서는 형국이 됐고 예산과 인력 지원까지 약속했다.

 

더 이상 삭감이 어려웠을까. 여야 합의를 거쳐 이날 반쪽의 축제 예산을 원안 의결, 예결위에 회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주민들이 공개 반발한 버스킹 예산(8천만원)은 수용됐으나 뮤직인더 하남(7천500만원)은 또 좌절됐다.

 

하지만 반쪽이라도 그나마 다행이다. 삭감 반복이 재연되면 소모적 논쟁이란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여서다.

 

이런 가운데 이날 오후 A의원이 버스킹 예산에 대한 주민들의 대응을 비판하는 자료를 냈다.

 

주민자치계획 변경에 따른 일부 예산변경 등을 놓고 규정을 따진 것이다. 그러면서 주민들이 문화재단 사업에 동 자원을 동원한 이유를 모르겠다며 꼼수란 지적까지 내놨다. 규정과 절차 문제는 짚어볼 필요가 있다.

 

버스킹은 문화재단 주관 사업이지만 주민 자긍심 고취와 상권 보호 측면에서 봤어야 했다. 급속한 도시 팽창과 이케아 등 인근 고덕비즈밸리로의 상권 유출에 맞서 미사 주민들이 행동에 나선 이유다.

 

게다가 이날 보도자료는 정작 버스킹 등 축제 예산에 집요함을 보였던 당사자는 없었다. A의원이 미사 자치회를 비판 것으로 대신하는 모양새다.

 

내년 지방선거 표를 의식한 의정이란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어 보인다.

 

이제 버스킹 논쟁은 일단락 됐으면 한다.

 

주민들이 원하고 하남시가 지향하는 곳에 방점을 두는 의정활동이 요구되고 있어서다.

 

나무만 보지 말고 숲을 보는 지혜가 요구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