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美 관세 유예에도 통상 비상 대응…수출기업 피해 최소화 총력

인천시가 지난 18일 인천지역 수출기업 보호를 위한 통상 대응을 위해 실무 회의를 열고 팀별 역할을 분담하고 있다. 시는 또 세부 대응 방안과 기관 간 협력 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시 제공
인천시가 지난 18일 인천지역 수출기업 보호를 위한 통상 대응을 위해 실무 회의를 열고 팀별 역할을 분담하고 있다. 시는 또 세부 대응 방안과 기관 간 협력 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시 제공

 

미국의 90일 관세 유예 조치에도 인천지역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철강 등에 대한 관세가 여전히 유지되면서 인천시가 수출기업 보호를 위한 통상 대응에 나섰다.

 

21일 시에 따르면 최근 미국 정부의 자동차·철강 등 인천지역 주력 품목에 대한 관세가 유지됨에 따라 피해 최소화를 위한 ‘미국 통상정책 비상대응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한다.

 

이번 TF는 시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동향분석팀, 관세대응팀, 기업지원팀, 대외협력팀 등 총 4개 팀으로 운영한다. 또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 인천지방중소벤처기업청, 중소기업벤처진흥공단 인천지역본부, 인천상공회의소, 인천테크노파크, 한국무역협회 인천본부, KOTRA 인천지원본부 등 관련 기관이 공동 참여한다.

 

TF는 미국의 통상정책 모니터링과 수출기업의 애로사항 파악, 지원사업 현황 공유, 긴급 대응체계 점검, 정부 건의 등 실질적인 대응에 나선다. 앞서 시는 지난 18일 실무 회의를 통해 팀별 역할을 분담하고, 세부 대응 방안과 기관 간 협력 과제를 논의했다.

 

김진태 시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미국의 관세 조치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글로벌 통상 이슈를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TF를 중심으로 기업 현장을 지속적으로 살피고, 애로사항을 적극 청취해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는 관세 부과로 피해를 입은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1천500억원 규모의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이번 자금은 직접 피해뿐 아니라 간접적인 피해 기업까지 포함해 운전자금 및 사업안정화를 도울 예정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