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든타임 지켜라”…경기도, 중증 소아·산모 응급 대응 강화

경기도청사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청사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내 소아, 고위험 산모 등 중증 응급환자가 증가하면서 도가 이들이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중증 응급환자 진료체계 구축에 나섰다.

 

17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이날 ‘경기도 응급의료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 개정안을 입법예고 했다. 개정안에는 중증 응급환자의 진료체계를 만들기 위한 추진 방안이 담겼다. 세부적으로 보면 소아·청소년·고위험 산모·신생아 진료를 강화하는 지원 사업과 중증 응급환자를 신속하게 치료하도록 야간·휴일 경증 환자 분산 지원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했다.

 

중증 응급환자란 보건복지부 고시 ‘한국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기준’에 따른 중증도 분류결과 1등급 및 2등급에 해당하는 응급환자(KTAS 1, 2)로, 즉시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하거나 심각한 후유증이 남을 수 있는 환자를 말한다.

 

도에서 응급환자 분류 체계인 KTAS 1, 2를 통해 도내 응급의료기관 73곳의 환자 증감을 분석한 결과, 올해 4월 2주 차 기준 중증 응급환자는 328명으로 직전연도 같은 기간(301명)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환자 대비 중증 응급환자 비율도 7.89%에서 9.34%로 늘었다.

 

응급실에 내원한 15세 미만 환자인 소아 중증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 2023년 말 기준 3.2%에서 지난해 말 기준 3.6%로 늘어났다. 특히 고위험 신생아 출생 비중이 10년 전과 비교해 크게 증가했다. 도내 조산아 출생비중은 2013년 6.45%에서 2023년 9.76%로 3.31%포인트 늘었으며, 같은 기간 다태아 출생 비중은 3.30%에서 5.68%로 2.38%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소아청소년과와 산부인과 등 필수의료 분야 전공의 수는 큰 폭으로 줄고 있다. 2014년 대비 2023년 필수 진료과 전공의 수는 약 24% 감소했고, 특히 소아청소년과의 경우 88% 줄었다.

 

상황이 이렇자 응급의료와 같은 중요한 분야에서의 인력 공백 발생을 막고자 조례 개정을 추진한다는 것이 도의 설명이다.

 

특히 개정안에는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응급의료기관·시설 응급실 전담 의료인력 인건비 및 운영비▲필수의료 인력 확보 및 진료 기능 유지를 위한 인건비 및 운영비 ▲야간·휴일 진료 기관 운영비 및 홍보비 ▲중증 응급환자 진료 기관의 시설과 장비 확충을 위한 예산 지원이 가능하게 했다.

 

도 관계자는 “의사 집단행동과 필수 진료과 의료인력 유출 등으로 인해 필수의료 공백이 발생하고 있다”며 “도내 중증 응급환자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이번 조례 개정을 통해 근거를 명시하고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