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11주기 일반인 희생자 추모식
“참사가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더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야 합니다.”
16일 오전 11시께 인천 부평구 인천가족공원. 세월호 참사 11주기 일반인 희생자 추모식 무대 앞 의자에 어두운색 옷차림의 세월호 참사 유가족들이 하나둘 앉아 자리를 채운다. 합창단이 추모 공연을 시작하자 유가족들은 떠나간 가족을 생각하며 흐르는 눈물을 손수건으로 훔쳐냈다.
이곳에서 만난 유가족 이은혜씨(45)는 “벚꽃이 필 때마다 떠나간 오빠 생각이 나 고통스럽다”고 했다. 이어 “세월호 이후에도 참사가 반복되는데, 참사 소식을 들을 때마다 유가족들의 속상한 마음을 알 것 같아 더 힘들다”고 말했다.
세월호 참사 일반인 희생자 유가족들이 참사 11주기를 맞아 참사가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더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인천가족공원에선 세월호 참사 11주기 일반인 희생자 추모식이 열렸다. 인천가족공원에는 2014년 4월16일 세월호 참사로 숨진 304명 중 일반인 희생자 42명과 구조활동 중 숨진 잠수사 2명의 봉안함을 안치한 세월호 일반인 희생자 추모관이 있다.
추모식에는 전태호 세월호 일반인유가족협의회 위원장 등 유가족들과 박승열 4·16재단 이사장, 도성훈 인천시교육감, 황효진 인천시 글로벌도시정무부시장이 참석했다. 더불어민주당 노종면(인천 부평구갑)·박주민(서울 은평구갑) 국회의원과 조국혁신당 백선희 국회의원(비례)도 함께했다.
전 위원장은 추모사에서 “세월호 참사 이후 여전히 계속되는 사고들에 참담하고 허탈한 심정이 든다”며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11년 전보다 더한 위험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는 사회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재난 안전 시스템을 재점검해야 한다”며 “국가가 안전망 강화, 재난 대응 체계화는 물론 참사 당사자들의 피해 극복을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이사장도 “우리는 한 사람의 생명이 존중받는 세상을 만들어 가길 원한다”며 “안전한 사회를 만들겠다는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의 신념과 의지가 모아져야 한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