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반도체, 전자제품 관세 면제 아니다”…관세 강행 시사

“안보 조사서 반도체·스마트폰 등 전자제품 볼 것” 
“철강·자동차처럼 품목별 관세 부과”
“누구도 봐주지 않겠다…특히 중국”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를 비롯한 전자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관세 강행에 후퇴가 없음을 시사했다.

 

1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 소셜에 글을 올려 “지난 금요일(4월 11일)에 발표한 것은 관세 예외가 아니다. 이들 제품은 기존 20% 펜타닐 관세를 적용받고 있으며 단지 다른 관세 범주(Bucket)로 이동하는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가오는 국가 안보 관세 조사에서 반도체, 전자제품 공급망 전체를 살펴볼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지난 11일 트럼프 대통령은 대통령 각서에서 상호관세에서 제외되는 반도체·스마트폰 등 전자제품 품목을 명시했고, 관세 징수를 담당하는 세관국경보호국(CBP)이 같은 날 이를 공지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등 전자제품은 미국이 중국에 부과한 125% 상호관세, 그리고 한국을 비롯한 나머지 국가에 부과한 상호관세(트럼프 대통령의 유예 조치로 7월 8일까지는 10% 기본관세만 적용)를 내지 않아도 된다.

 

다만 미국이 마약성 진통제인 펜타닐의 미국 유입 차단에 협조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중국에 행정명령을 통해 별도로 부과한 20% 관세는 여전히 적용된다.

 

이를 두고 미국 언론 등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강경 기조에서 한발 물러나 전자제품은 관세에서 면제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됐으며, 민주당 등에서는 정책에 일관성이 없다는 비판이 일었다.

 

그러자 관세를 담당하는 고위 당국자들은 이날 잇따라 언론에 출연해 전자제품은 지난 2일 발표한 국가별 상호관세에서 제외되는 것일 뿐, 앞으로 진행할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를 통해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반도체 등 국가 안보에 중요한 품목은 철강이나 자동차처럼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의미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날 관세 강행 의지를 재확인했다.

 

그는 “다른 나라들이 우리를 상대로 이용한 비(非)금전적 관세 장벽 및 불공정한 무역수지와 관련해 누구도 봐주지 않겠다(Nobody is getting off the hook). 특히 우리를 최악으로 대우하는 중국은 봐주지 않겠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제품을 미국에서 만들어야 하며 우리는 다른 나라에 인질로 잡히지 않을 것이다. 특히 중국같이 미국민을 무시하기 위해 가진 모든 권력을 이용할 적대적인 교역국에 대해 그렇다”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