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이르면 9일 차기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할 가능성이 나오는 가운데 경기도지사직은 내려놓지 않을 전망이다. 정치권에서는 지사직 유지가 ‘도정 공백’ 우려와 ‘양다리’ 비판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행보에 이목이 쏠린다.
7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김 지사는 도지사직을 유지한 채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르면 9일 출마 선언과 함께 선거 캠프 구성 인원도 공개할 것으로 점쳐진다. 다만 도지사직을 유지한 채 경선에 나설 경우, 법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정치적 부담은 피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지방자치법에 따르면 광역단체장이 공직선거에 출마할 경우 직을 유지할 수 있다. 선거운동 등으로 자리를 비우면 행정부지사가 도지사의 빈 자리를 이어간다. 김 지사의 경우 출마 선언 이후에는 김성중 행정1부지사가 도정 대부분을 맡을 것으로 예측된다.
과거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는 2012년 제18대 대선 당시 새누리당 경선에 출마하면서 “필요하다면 사퇴하겠다”고 했지만, 결국 지사직을 유지한 채 경선에 나섰다. 당시 관권선거 논란과 도정 공백에 대한 우려가 동시에 제기됐지만 결국 사퇴를 철회했고, 이에 대한 비판 여론도 뒤따랐다. 일부 여론조사에서는 도민 다수가 ‘지사직 사퇴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히기도 했다.
이재명 전 지사는 2021년 제20대 대선 경선 과정에서 역시 지사직을 유지했으나 민주당 최종 후보로 확정된 이후인 같은 해 10월25일 지사직에서 물러났다. 이에 따라 도는 오병권 당시 행정1부지사가 권한대행을 맡아 도정을 운영했다. 이 전 지사는 지사직 유지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경선 일정 동안은 도정을 병행했다는 입장이었다.
김동연 지사는 사실상 이재명 전 지사의 사례를 따르는 모양새다. 경선 기간 동안 지사직을 유지하다 후보로 확정될 경우 사퇴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지사직을 유지한 채 대선 행보에 나설 경우, 도정과 정무 사이에서 균형을 잃었다는 지적을 받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내용은 말할 수 없으나 김 지사가 사퇴하지 않고 대권에 도전할 경우 도정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