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중 하회마을·병산서원·대전사 주변 소강 경북북부 산불영향 3만3천204㏊…서울시 면적 절반 넘어
경북 의성에서 시작해 경북 북동부로 확산 중인 대형 산불 진화 작업이 27일 날이 밝으면서 다시 시작됐다.
산림 당국은 산불 엿새째를 맞은 이날 오전 6시30분께부터 헬기와 진화 차량, 진화 대원 등을 차례로 투입해 진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진화 인력과 장비를 산불 인접 시·군으로 분산 배치해 동시다발적인 진화에 나섰다. 이날 오전 7시 기준 투입 인력은 4천635명, 헬기 79대, 장비 693대로 예정됐다.
산림 당국은 전날 주간에 헬기 87대, 인력 5천421명, 장비 656대를 투입했고, 일몰 후부터는 인력 3천333명을 투입해 야간에도 대응 체제를 유지했다. 야간에는 전력 시설, 민가, 다중이용시설, 국가문화 유산 등과 같은 중요 보호시설 주변 방화선을 구축하는 데 힘썼다.
밤사이 산불이 소강상태를 보인 세계문화유산 안동 하회마을과 병산서원 주변에는 이날부터 헬기를 투입, 산불 확산 및 접근을 막을 방침이다. 전날 한때 산불이 병산서원 인근 3㎞ 내외까지 가까이와 안동시가 주민에게 긴급 대피를 안내했으나, 현재까지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날 청송군 주왕산국립공원에 산불 확산으로 대전사에서도 긴급 방재 작업이 진행됐으나, 이날 새벽부터 불이 잦아들었다.
건조 특보가 유지 중인 경북에는 이날 5㎜ 안팎의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다.
산림청에 따르면 경북 북부 산불영향구역은 3만3천204㏊로 추정된다. 이는 축구장 면적(0.714㏊)의 약 4만 6천배가 넘는 면적으로, 서울시 면적의 절반을 넘는 지역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보인다.
전체 화선의 길이는 의성·안동 279㎞로 이 중 192㎞ 구간은 진화를 완료했다. 청송·영양·영덕 3곳의 화선은 파악 중이다.
전날까지 산불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사망자만 안동 4명, 청송 3명, 영양 6명, 영덕 8명 등 모두 21명으로 확인됐다. 의성에서는 진화 작업 헬기가 추락하는 사고로 기장 A(73)씨가 숨졌다.
경북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 기준 경북 의성·안동 등에서 3만2천989명이 긴급 대피에 나섰고, 이 중 1만5천490명이 대피소 생활을 이어 나가고 있다.
주택과 공장 등 건축물은 2천572개소·2천660동이 피해를 입었다. 2천599동이 전소됐으며 16동이 반소, 45동이 부분 소실됐다.
서산영덕고속도로 동상주 나들목(IC)∼영덕 IC 구간(105.5㎞) 양방향, 중앙고속도로 의성 IC∼풍기 IC 구간(73.3㎞) 양방향 통제가 지속되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