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서부간선수로, 농업용수 공급 기능 폐쇄 추진

유정복 인천시장, “자연과 함께 즐기는 친수 공간으로”

인천 계양구 인근 서부간선수로에 쓰레기가 개구리밥과 함께 떠다니고 초록 물이 흐르고 있다. 경기일보DB
인천 계양구 인근 서부간선수로에 쓰레기가 개구리밥과 함께 떠다니고 초록 물이 흐르고 있다. 경기일보DB

 

인천의 6대 하천인 부평·계양일대 서부간선수로의 수질오염 및 악취로 인근 주민들이 큰 고통(경기일보 1월6일자 1면)을 받는 가운데, 인천시가 서부간선수로의 농수로 기능을 폐쇄하고 하천으로 전환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 중이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24일 인천시의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시대가 바뀌고 도시화가 급속히 이뤄지면서 농수로로서의 기능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며 “이 같은 상황에 맞춰 농업용수 공급이라는 기능을 아예 폐쇄시키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부간선수로는 김포 신곡양배수장에서 한강물을 끌어 올려 계양구, 부평구, 부천시 일대 평야지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던 인공 수로다. 그러나 도시개발로 인해 농업용수 공급량이 줄면서 물이 거의 흐르지 않다 보니 물이 고여 수질은 나빠지고, 바닥에는 수초, 오물 찌꺼기 등이 썩으면서 악취까지 나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는 전체 농지 면적 6천ha(헥타르) 중 농업용수 공급 면적은 975ha로 고작 16%에 그친다. 여기에 오는 2029년 계양테크노밸리(TV) 준공 등 일대 개발 사업까지 마무리되면 이 같은 농수로 기능은 더욱 줄어들 전망이다.

 

김종득 인천시의원(더불어민주당·계양2)이 24일 인천시의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유정복 인천시장에게 시정전반에 관한 시정질문을 하고 있다. 시의회 제공
김종득 인천시의원(더불어민주당·계양2)이 24일 인천시의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유정복 인천시장에게 시정전반에 관한 시정질문을 하고 있다. 시의회 제공

 

이 때문에 시는 현재 농어촌정비법 상 ‘농업생산기반시설’로 규정되어 있는 서부간선수로의 용도를 폐지한 뒤 하천으로 지정해 관리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농수로다 보니 서부간선수로를 시에서 관리할 권한이 없는 것은 물론, 수질 개선을 위해 유지용수를 공급하는데도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현재 시는 해마다 수억원에 이르는 사용료를 농어촌공사에 납부하고 서부간선수로 일부에 유지용수를 흘려보내고 있다.

 

농수로의 기능이 빠지고 하천으로 지정이 이뤄지면 지자체가 관리 및 개입할 수 있는 권한이 생기고, 이를 통해 1년 내내 유지용수를 공급하는 등 서부간선수로 일대를 친수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농어촌공사 관계자는 “농업기반시설로서의 기능은 이미 사라진 거나 마찬가지고, 어차피 개발이 되다 보면 일대에 들어서는 아파트나 산책로 등 지자체에서 관리를 하는 게 편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서부간선수로 전체가 농어촌공사 땅으로 돼있다 보니 지자체에 무상으로 양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며 “지자체와 논의를 거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현재 다양한 해결 방법을 놓고, 농어촌공사와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며 “아직은 초기 단계라서 구체적인 계획은 없고 기능을 전환하는 방안에 대한 방향성만 잡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 관련기사 : 인천 서부간선수로 ‘고인물’… 오염·악취 비상

https://kyeonggi.com/article/20250105580170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