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특례시의회는 110만 시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민의의 전당이다. 용인특례시가 지역 균형발전과 도시경쟁력 강화라는 과제를 떠안은 만큼 유진선 의장 역시 소통과 협력으로 풀뿌리 지방자치 발전을 견인하는 의회가 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유 의장은 지난해 7월1일 당선돼 제9대 후반기 의회를 이끌고 있다. 3선의 유 의장은 용인시의회 사상 첫 여성 의장이어서 취임 당시부터 이목이 집중됐다.
제9대 의회 의원들의 임기가 어느덧 절반을 넘긴 가운데 유 의장은 투명한 의정활동뿐 아니라 의회와 집행부 간 소통 및 의회의 독립성 확보 등 다방면에서 ‘지방의회다운 지방의회’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그간 유 의장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지방의회 독립성·자율성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의회사무기구는 그동안 담당관 수 제한으로 인해 업무 과부화, 기형적인 조직 구조 문제로 골머리를 앓았다. 유 의장은 이 같은 상황을 개선하고자 복수담당관 도입을 위해 노력했다. 행정안전부에 복수담당관제 도입을 지속 건의했으며 대한민국특례시의회의장협의회를 통해 지방시대위원회 및 행정안전부에도 건의문을 제출한 바 있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지난 13일 특례시의회 사무기구 내 복수담당관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기준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령안을 입법예고했다.
유 의장은 “기존의 ‘1담당관 8개팀’ 체제를 ‘2담당관 8개팀’ 체제로 조정하면 의회 직원 증원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더욱 원활한 의정 활동을 지원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 의장은 공공 감사에 관한 법률 개정에도 힘쓰고 있다. 지방의회의 진정한 견제와 균형 역할을 위해선 독자 감사 기능을 확보가 필수여서다.
현재 지방의회 의장은 인사권 독립 이후 징계 요구와 처분 권한을 갖고 있지만 이를 조사·감사할 기구가 없어 지자체장 소속 감사기구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행 공공감사법이 자체 감사기구 설치 대상을 광역·기초자치단체와 교육청으로 한정하고 있어 의회가 감사 기능을 갖추지 못한 것이다.
이에 유 의장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행정안전위원회, 감사원, 행안부 등에 건의문을 송부해 법률 개정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지난 11월에는 의원들과 함께 감사원을 방문해 공공감사법 개정을 요구한 바 있다.
이뿐만 아니라 의회는 ▲의원 및 직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확충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활용한 교육 ▲세분화되고 전문적인 의원연구단체 확대 등을 통해 의정활동 역량 강화에도 힘쓰고 있다.
또 의회는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지역 독립운동가를 알리고 기억하고 기념하고 선양하는 데 매진하고자 한다.
유 의장은 “용인시가 3·1운동을 기념해주길 바라며 의회도 힘을 보태겠다. 용인만세운동의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만세운동 재현 행사가 오는 29일 기흥·수지구에서 계획돼 있는 만큼 시민들의 많은 관심이 현장의 함성으로 전달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끝으로 “초심을 잃지 않고 언제나 시민 편에서 더 살기 좋은 우리 동네 110만 용인시의 품격을 갖출 수 있도록 더욱 정성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