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자체매립지 용도로 사들였지만, 민선8기 정책 변경… 계획 ‘백지화’ 옹진군 수산업단지 요청에도 묵묵... 4월까지 ‘2차 수요조사’ 운영 계획에 뚜렷한 대책없고 의지 박약 비판도
인천시가 600억원을 들여 자체매립지 용도로 사들인 옹진군 영흥도의 땅이 4년이 넘도록 구상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시는 수년째 옹진군으로부터 수산업 경제단지 조성 등을 건의 받고도 ‘묵묵부답’이고, 자체적으로 관련 용역도 했지만 활용 방안을 찾지 내놓지 못하고 있다.
19일 시에 따르면 지난 2021년 4월 당초 수도권매립지 종료에 대비해 인천만의 자체매립지 ‘에코랜드’로 사용하겠다는 계획에 따라 617억원을 들여 옹진군 영흥면 외리 248의1 일대 89만486㎡(약 27만평)를 샀다. 1년 뒤 민선 8기에 들어서면서 대체매립지 조성으로 정책이 변경, 에코랜드 사업은 백지화했다.
그러나 시는 아직 기초적인 공유재산 변경 절차도 밟지 않는 등 옛 에코랜드 부지 계획은 백지 상태다. 이 부지가 자체매립지 용도에 묶여 있는 만큼, 다른 용도로 활용하려면 행정재산(공용재산)을 일반재산으로 변경하는 절차가 이뤄져야 한다.
특히 시는 옹진군의 활용 방안 건의도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옹진군은 지난 2022년부터 해당 부지를 대규모 수산업 경제단지로 조성하기 위해 사용을 요청하고 있다. 문경복 옹진군수는 공약으로 어업, 수산물 가공 등 체계적인 친환경 양식시스템을 만들어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수산업 경제단지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다.
시는 또 2023년 1차 수요조사와 함께 인천연구원에 ‘영흥 공공사업 추진부지 활용방안 연구’를 통해 전반적인 활용 구상도 했지만, 뚜렷한 정책 결정을 하지 못하고 있다.
당시 인천연구원은 공공성에 무게를 둘 경우 문화와 복지시설 입지로, 공공주체와 민간협력 차원에서는 영흥화력발전소와 연계해 에너지를 주제로 하는 산업클러스터 조성 등을 제안했다. 또 민간 투자를 통한 활성화 방안으로 수변과 연계한 대규모 스포츠 레저시설과 숙박시설, 생태테마관광 등의 복합화 클러스터의 가능성도 제시했다.
시는 뒤늦게 4월까지 각 실·국과 옹진군 등을 대상으로 2차 수요조사를 해 활용 방안을 찾아본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 같은 수요조사는 옹진군의 건의나 인천연구원의 연구 등을 반복할 가능성이 크다. 이 때문에 시가 이 부지를 활용할 적극적인 의지가 없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신영희 인천시의원(국민의힘·옹진)은 “시가 수백억원의 막대한 예산을 들여 땅을 사놓고, 수년째 무엇을 할 것인지 계획조차 내놓지 못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당초 자체매립지로 취득했지만, 사업 무산 이후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옹진군의 요청은 일부 부지 활용 방안일 뿐, 현재 전체 부지 활용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부지의 활용방안은 단순히 담당 부서 차원에서 구상하기 어렵고, 정책적으로 논의해야 할 사안이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