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 사할린 동포 62가구 정착…LH, 가족 모여 살도록 지원

11일 인천 남동구 남동사할린센터에서 열린 ‘사할린 동포 환영회 및 후원물품 전달식’에서 이한준 LH 사장을 비롯해 맹성규 국회 국토교통위원장(더불어민주당·인천 남동갑) 등이 사할린 동포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맹 의원실 제공
11일 인천 남동구 남동사할린센터에서 열린 ‘사할린 동포 환영회 및 후원물품 전달식’에서 이한준 LH 사장을 비롯해 맹성규 국회 국토교통위원장(더불어민주당·인천 남동갑) 등이 사할린 동포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LH인천지역본부 제공

 

인천에 영주귀국 정착지원 대상 사할린 동포 62가구가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임대주택에 정착했다. 더욱이 이들은 지난해부터 지속적으로 이사를 통해 같은 아파트 단지 등 가까운 곳에서 살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받으며 안정적으로 정착해가고 있다.

 

LH 인천지역본부는 11일 인천 남동구 남동사할린센터에서 사할린 동포 환영회 및 후원물품 전달식을 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한준 LH 사장을 비롯해 맹성규 국회 국토교통위원장(더불어민주당·인천 남동갑), 문정현 남동사할린센터 회장 등이 참석했다.

 

앞서 영주귀국 정착지원 대상자로 뽑인 사할린 동포 148가구(238명) 중 인천에는 62가구가 새 보금자리를 마련했다. 이중 남동구에 인천에서 가장 많은 48가구가 정착했다.

 

특히 인천에서는 최근 사할린 동포 가족들이 같은 아파트 단지로 조금씩 모이고 있다. 당초 신규 입주자들은 사는 지역을 시·군 단위로만 선택할 수 있다 보니, 다른 아파트 단지에 사는 등 떨어져 사는 경우가 잦았다.

 

하지만 맹 위원장을 비롯해 LH 등의 협력으로 지난 2024년 8월 제도 개선이 이뤄져 사할린 동포 입주자가 다른 단지로 이사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 아파트 단지의 동·호까지 변경이 가능해 가족과 함께 정착할 수 있다. 인천에서는 올해 신규 입주자 중 6가구가 같은 단지에서 살고 있다.

 

image
11일 인천 남동구 남동사할린센터에서 열린 ‘사할린 동포 환영회 및 후원물품 전달식’에서 이한준 LH 사장을 비롯해 맹성규 국회 국토교통위원장(더불어민주당·인천 남동갑) 등이 사할린 동포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맹 의원실 제공

 

최근 영구 귀국한 김정길씨는 이 같은 제도 개선 덕분에 현재 같은 아파트 단지에서 딸과 함께 살고 있다. 그는 “이번 제도 개선이 없었다면 가족들이 흩어져 지낼 수 도 있었을 것”이라며 “가족이 가까운 곳에서 함께 지내 너무 다행”이라고 말했다.

 

맹 위원장은 “사할린 동포 가족들이 가까운 곳에서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 여러 기관이 얽혀 있어 어려움은 있었다”며 “실효성 있게 정책이 개선이 이뤄져, 동포들이 고국에서의 안정적인 삶을 보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주민 입장에서 정책의 문제점을 찾고 개선하는데 애쓰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LH는 임대아파트에서 지내는 사할린 동포 360가구에 총 1천500만원 상당의 식료품 행복나눔상자를 전달하며 인천의 정착 지원에 힘을 보태기도 했다.

 

이 사장은 “앞으로도 사할린 동포들이 한국에서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주거 지원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더욱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