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홈플러스 기업회생 피해 소상공인 특례보증 검토

김진태 시 경제산업본부장 기자회견

image
김진태 인천시 경제산업본부장이 11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경제산업본부 기자 간담회를 하고 있다. 이병기기자

 

우리나라 대형마트 업계 2위인 홈플러스가 기업회생(법정관리) 절차에 들어간 가운데 인천시가 관련 소상공인들을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선다. 그러나 아직까지 홈플러스와 관련한 소상공인 실태나 규모조차 파악하지 못해 적극적인 정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김진태 인천시 경제산업본부장은 11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경제산업본부 기자 간담회에서 “홈플러스 기업회생 관련 시 차원에서 소상공인들을 위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홈플러스와 관련한 소상공인은 크게 납품하는 업체, 입점 업체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며 “실질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은 계약 뒤 나중에 정산을 받는 형태의 입점 업체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아직까지 시가 파악한 바로는 입점 업체에 대한 정산이 조금씩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다만, 정산이 멈춘다면 예전 티몬 사태 당시 시가 추진했던 특례보증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시는 지난 2024년 9월 티몬·위메프 사태 당시 소기업·소상공인들이 유동성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희망인천 소상공인 특례보증 3단계’를 추진했다. 시는 당시 출연금 29억4천만원, 지원규모 380억원으로 인천신용보증재단 등과 함께 특례보증을 지원했다. 특히 인천에 있는 티몬·위메프 피해기업은 업체당 최대 1억원 이내로 최초 1년간 2%, 이후 2년간 연 1.5%의 이자를 지원했다.

 

김 본부장은 “홈플러스가 사정이 더욱 안 좋아져 구조조정을 하고, 이로인해 실직자가 나타나면 고용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이 부분은 중기적 관점에서 검토 뒤 정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다만, 홈플러스 관련 소상공인들의 규모는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며 “시가 할 수 있는 역할은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이라고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